

과거와 다른 달탐사 경쟁 시작됐다
미국은 1969년 인류 최초 아폴로 11호 달 착륙 이후, 다시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 중국, 일본, 인도 등 우주 선진국들은 물론 최근에는 혁신과 도전, 새로운 기회로 상징되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민간 스타트업까지도 달탐사 등 우주탐사에 참여하고 있다. 우주 선진국은 과거 달 탐사와는 다르게 달을 미개발된 무한한 잠재력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달 탐사를 통한 우주개발 주도권을 확보해 가고 있다. 우주 선진국은 발전된 우주기술을 토대로 우주개발 영역을 지구 중심에서 달과 화성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우주탐사를 통해서 더욱 진보된 우주기술을 확보가고 있다.
미국은 우주탐사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주개발 선도국으로서의 지위를 지속화하고 미국의 과학, 안보 및 경제 분야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일본, 중국, 인도 등 우리의 주변국도 달, 혜성과 화성 탐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달 탐사를 통해서 달까지의 비행 및 제어기술, 달 궤도 진입기술, 착륙 기술, 샘플 채취 및 지구 귀환 기술, 극한 우주환경에서의 달 탐사로버, 원자력전지, 우주인터넷 등 첨단 우주기술 개발과 우주산업화 촉진, 새로운 일자리 창출까지 기대하고 있다. 세계가 달에 다시 주목하는 이유는 달의 부존자원 확보와 화성 등 심우주 탐사를 위한 중간 기착지로 활용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유인 및 무인 탐사를 통해 달에는 물과 헬륨3(He3), 우라늄, 희토류 등의 희귀자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무인달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 (구)소련, 중국 뿐이며,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과 (구)소련을 포함해 일본, 유럽, 중국, 인도 6개국으로 우주탐사를 시작하지 않으면 다른 나라와의 우주개발 경쟁에 크게 뒤쳐질 수 있다.
첫발 내딛은 한국 달 탐사
우리나라도 그동안 확보한 우주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우주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탐사 기술 확보 및 검증을 위한 국제협력 기반의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를 2022년 8월 5일 발사했고, 12월 26일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이후 1년동안의 정상 임무와 1년동안의 연장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다누리는 2025년 2월 19일에 달 고도 60km의 달 저궤도에 진입하였으며, 달 표면을 더 가까이에서 관측하며 임무를 수행 중이다. 다누리는 우수한 관측결과와 연료량의 여유를 고려해 임무운영기간을 당초 2023년 말에서 2027년 말까지로 4년 연장했다.
향후 우리나라는 누리호 후속 발사체인 차세대발사체를 개발해 2032년까지 달 착륙선을 실어 보낼 계획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탐사 기술 확보 및 검증을 위한 국제협력 기반의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 (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를 2022년 8월 5일 발사했다.

너비A (태양전지판 펼쳤을 때) | 6.3m |
---|---|
총 무게 | 678kg |
연료무게 | 260kg |
발사일 | 2022년 8월 5일 |
달까지 걸리는 시간 | 약 4개월 (~’22.12) |
임무기간 | 1년 (~’23.12) |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40번 발사대)
발사일발사장 현지 2022년 8월 4일 목요일 19시 (한국기준 ‘22.8.5. 08:00)
중량 | 549ton |
---|---|
총 길이 | 70m |
외부 직경 | 3.7m |
1, 2단 액체 추진 | |
발사능력 | 22,800kg(지구 저궤도) 8,300kg(지구 정지천이궤도) 4,020kg(화성 전이궤도) |
달의 북극과 남극 상공 100km를 통과하는 원궤도를 돌게 됩니다.


2022년 8월 5일 달을 향한 여정을 시작하다
다누리(KPLO)은 2022년 8월 5일 미국의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되었다. 발사 후 태양과 지구 등 주변 천체 중력을 활용해 달 궤도에 접근하는 달 궤도 전이방식(BLT/WSB)을 이용해 2022년 12월 26일 달 임무 궤도 진입에 성공하였다. 임무기간이 2년 연장된 다누리(KPLO)는 2025년 12월 까지 달에서 과학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