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01

기존 무인기와 다른 차별화된 성능과 임무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7년 부터 2020년 까지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현장정보 수집 및 효과적인 임무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재난치안용 무인기와 지상통제장비, 통신 및 운용관리시스템, 특화임무장비 등을 개발 완료하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재난 및 치안분야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소방청주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경찰청, 경찰청이 참여하는 ‘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사업(다부처공동사업)의 총괄주관기관으로 사업을 수행하였다.

재난안전과 항공우주 분야의 융합 기술이 개발되는 첫 걸음으로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하여 29개의 기관 및 기업이 기술개발에 참여하였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사업을 관리하였으며, 개발 전과정에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적용하여 사업초기 임무정의부터 시스템 설계, 기본 설계, 상세 설계, 시제품 제작, 통합시험평가까지 정부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 자문 그룹이 참여한 민간 최초의 재난치안용 소형무인기체계 개발 사업이었다.

재난치안용 무인기는 임무정보 다지점송신 기능, 복수 무인기 동시 운용 및 관리, 방수 및 방진, 내풍성및 내열성, LTE/Wifi/C-band 통신 삼중화, 14종의 특화임무장비 플러그 앤 플레이, 어둡고 GPS 신호가 잡히지 않는 터널 등에서 무인기를 운용하기 위한 실내외 안전운항 체계(SLAM), 비가시권 통신·통신 중계 등 기존 무인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차별화된 성능과 다양한 재난치안환경 조건에서 소방, 해경, 경찰의 재난대응 임무수행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연구 개발하였다.

재난치안용 무인기 통합시스템은 지진 등으로 붕괴된 터널사고, 화재사고, 유해가스사고, 방사능 누출사고, 해상초계(조난 및 불법어선 감시), 해양오염사고, 선박 및 조난자 수색, 우범지역 순찰 및 교통량 확인, 불법드론제압, 범죄 용의차량 및 용의자 식별 등의 임무에 활용함으로써 재난안전 예방의 순기능 강화와 수요부처의 신속한 초동 대응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1년 부터 2025년 까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불법 드론을 공중에서 무력화 하는 안티 드론 시스템 ‘드론캅(Drone-Cop)을 개발 중에 있다.
드론의 고성능화, 지능화, 군집화에 따라 드론을 이용한 불법행위들이 단순 촬영에 의한 사생활 침해에서 공공시설 테러 및 위해로 발전되고 있어 국가주요시설(원전, 공항 등) 불법드론 위협 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해 불법드론을 추적·무력화할 수 있는 공중기반 대응 시스템인 드론캅 및 지능형 무력화 탑재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드론캅(Drone-Cop)’은 공항 등 국가주요시설의 안전 위협과 불법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공중기반 불법드론 대응 시스템으로, 불법드론 「탐지→식별→분석→무력화」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지상장비 탐지영역 외부 및 음영지역을 순찰하는 순찰용 드론캅 및 불법드론 발견 시 대응하는 대응용 드론캅 2종류의 기체를 개발하고 광학·RF스캐너·탑재레이더를 기반으로 불법드론을 탐지·추적해 무력화가 가능한 탑재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드론캅 시스템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12개 산·학·연으로 구성된 개발 컨소시엄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2026년 153억 달러로 예상되는 안티드론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기반을 구축했다.
향후, 지상기반 불법드론 대응시스템과 연계하여 공항과 원자력시설 등 주요기반시설에서 실증시험을 통해 개발을 완료할 예정으로 입체적이고 지능적인 안티드론 통합 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02

재난치안용 무인기 시스템

MC-1 (실내재난대응용)

크기 : 580x585x459mm / 최대이륙중량 : 7kg / 비행시간 : 20분 이상 / 운용온도 : -20~50℃ / 방진방수 : IP43 / 내열성 : 125℃ (10초 노출)

MC-2 (실외재난대응용)

크기 : 927x930x750mm / 최대이륙중량 : 17kg / 비행시간 : 20분 이상 / 내풍성 : 10 m/s / 운용온도 : -20~50℃ / 방진방수 : IP43 / 내열성 : 125℃ (10초 노출) / 내부식성 : 5% / 염수분무 : 48시간 노출

MC-3 (실외재난대응용)

크기: 1480x1868x831mm / 최대이륙중량 : 35kg / 비행시간 : 20분 이상 / 내풍성 : 15 m/s / 운용온도 : -20~50℃ / 방진방수 : IP43 / 내부식성 : 5% / 염수분무 : 48시간 노출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03

드론캅 시스템 - 순찰드론캅

  • - 수직이착륙형 고정익 형상 : 4리프트프롭+ 1푸셔프롭
  • - 수직이착륙시 기체 제어 즉각 대응을 위해 모터/프롭 사용
  • - 수평 비행 시 기체 중량 절감 및 운용 시간 증가를 위해 엔진/프롭 사용
  • - 크기 : 날개길이 4,060mm, 동체길이 2,360mm
  • - 탑재 임무 장비 : 레이더, RF스캐너, EO/IR
  • - 특징 : 소형 레이더를 탑재하여 불법드론을 탐지하고 EO/IR 카메라와 RF 스캐너를 장착하여 불법드론 탐지율과 식별률을 높임.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공공안전활용 무인기
 
04

드론캅 시스템 - 대응드론캅

  • - 멀티콥터 형태
  • - 하나의 기체에서 전자적 무력화 장비를 장착한 형상과 물리적 무력화 장비를 장착한 형상으로 구분
  • - 크기 : hub to hub 1,200mm
  • - 탑재 임무 장비 : EO/IR, RF 스푸퍼, GNSS 스푸퍼, 재머, 넷건
  • - 특징 : 능동적 대응을 위해 영상기반 표적 인식 및 추적 기술을 탑재, GNSS Spoofer로 인한 Self Jamming을 방지하기 위한 VPS 추가 장착 ,Netgun 발사를 위한 불법드론자동 추격시충돌을 방지하기 위한(상대위치 추정) LiDAR 탑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