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사용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전기동력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비행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0년 이후 미래비행체용 하이브리드 전기동력 추진시스템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1년 태양전지와 연료전지, 배터리 및 능동형 전력제어시스템을 조합한 고효율 전기추진 시스템이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EAV-2에 적용되었고, 2012년에는 태양전지와 배터리를 적용으로 EAV-2H의 25시간 이상 연속비행을 시현했다.

2015년에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고도 18.5㎞ 성층권에서의 비행과 12시간 연속비행에 성공한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EAV-3에는 초경량 날개 구조물 위에 부착된 태양전지와 함께 고고도 극한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터리 팩 및 구동모터를 국내 개발해 장착했다. 이후 2016년부터 소형 왕복엔진-발전기-배터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전기동력 시스템 연구를 시작해 2018년 중량 48㎏급의 쿼드틸트프롭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전기동력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기존 배터리 적용 비행시간(30분)의 2배인 1시간 비행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항우연 주도로 개발되고 있는 미래형 유무인 겸용 개인항공기(OPPAV)의 전기추진시스템 및 150kW급 경량 전기추진시스템의 핵심부품을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2021년부터는 장거리/고속 eVTOL 및 eCTOL에 적용이 가능한 가스터빈기반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통합기술개발에 착수하여 시스템 설계/해석, 구성품 요구도 도출 및 개발, 서브 시스템 시험평가를 거쳐 2024년말 기준으로 통합 지상시험리그 구축을 완료하여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통합 성능 평가를 진행 중에 있다.

01

4~5인승 Advanced Air Mobility eVTOL을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 최대 출력 기준 700kW급, 서울-부산(350km) 이동을 실현하는 추진시스템
02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EAV-3

  • 날개길이 : 20m(동체길이 9m), - 이륙중량 : 53kg, - 순항속도 : 25.2km/h, - 최고속도 : 43km/h
터보제너레이터 → 분배기 → 고전압 와이어하네스(인버터#3, 모터#3, 모터#2, 모터 #1) → 인버터#1, 인버터#2
연관 컨텐츠
연관 콘텐츠 이미지 2,500배 커지는 태양돛을 전개해 무동력으로 우주를 항행한다! 태양돛 전개장치 전개 시험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연관 콘텐츠 이미지 대한민국 헬기의 비상을 위해 비행 시 겪는 모든 극한조건을 테스트하는 훨타워! 연관 콘텐츠 이미지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연관 콘텐츠 이미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임무 성공! 원자력 전지, S대역 안테나 검증 등 임무 수행 내용을 공개합니다 연관 콘텐츠 이미지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우주 태양광 발전 핵심기술 '무선전력전송' 개발, 세계 최장 거리 전력 회수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NASA 등 전세계 우주기관 우주탐사 수장들이 대한민국에 모인 이유는? 연관 콘텐츠 이미지 우리 기술로 달에 사람이 간 흔적을 찾다! 다누리가 보내온 인류 최초 유인 달 탐사의 흔적들 연관 콘텐츠 이미지 다누리가 지구와 교신하는 방법 국내 최대규모! 여주 심우주 안테나 연관 콘텐츠 이미지 대한민국이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들어온 30년! 당신이 몰랐던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개발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