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독자기술로 다누리 지상시스템 개발 및 지상운영 노하우 확보
다누리의 초기운영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심우주지상안테나와 NASA JPL의 심우주네트워크(Deep Space Network, DSN) 안테나를 사용하였고, 국내외 안테나와의 원격 운영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다누리 임무운영센터에서 수행한다.
다누리 지상시스템은 다누리와 지상-우주 교신을 수행하는 심우주지상안테나, 명령전송과 상태정보 수신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실시간운영시스템, 버스운영과 탑재체 관측계획을 수립하는 임무계획시스템, 다누리의 궤도결정과 궤도예측, 기동계획 수립과 기동분석을 수행하는 비행역학시스템, 다누리의 고해상도카메라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보정분석시스템, 그리고 다누리 과학탑재체 자료를 과학자 및 일반대중에서 배포하고, 보관하는 KARI 행성자료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심우주지상시스템 내용 접기
- 달 탐사선 다누리 운영을 위한 국내 최초 심우주 통신용 지상 시스템
- 심우주지상안테나(KDSA)와 임무운영센터(KMOC)로 구성
- 다누리호와의 통신, 상태확인, 동작 제어 데이터 수신 등 임무 수행
달궤도 탐사 소요기술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구분 | 세부내용 |
---|---|
본체 |
|
임무/시스템 |
|
탑재체 |
|
ILN |
|
지상국 |
|
심우주지상시스템(KDGS)가 필요한 이유
다누리호가 지구로부터 가장 멀어졌을 때 거리는 약 156만km로 아리랑위성 같은 지구 저궤도 위성(약 600km)이나 천리안위성 같은 정지궤도 위성(약3.6만km)보다도 훨씬 더 멀리 지구 밖을 비행하기도 한다. 때문에 먼 우주를 항해하기 위해 심우주지상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달궤도 탐사 소요기술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운용주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위치 | 경기도 여주 |
주 반사판 크기 | 직경 35m(국내 최대) |
높이 | 42.7m |
중량 | 709.55톤 |
주요기능 |
|
NASA 와의 상호 협력

연관 컨텐츠
다누리가 촬영한 지구 자전
개기일식에 다누리가 촬영한 지구('24.4.9.)
달에서 음속의 9배로 움직이며 0.0003초만에 다누리 포착 성공!
달 내부 전기전도도 분석 결과
다누리에서 ETRI로 메세지송신한 화면
다누리 우주인터넷탑재체에 저장된 풍경사진을 ETRI가 수신한 화면
ERTI에서 다누리로 메세지송신한 화면
다누리 고해상도카메라로 촬영한 티코 충돌구(Tycho-Crater) 사진
다누리 광시야편광카메라의 촬영 사진으로 작성한 달 전체 지도
다누리 감마선분광기의 관측자료로 작성한 우라늄 원소지도 초안
2007.12월~2008.12월 가구야의 관측자료로 작성한 우라늄 원소지도
지구 전면 촬영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