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개발 첫 정지궤도위성이자 독자적인 기상 및 해양관측 서비스가 가능한 천리안위성 1호를 개발했으며, 천리안위성 1호 보다 더 정밀한 기상관측이 가능한 천리안위성 2A호, 한반도 해양관측과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대기환경 관측이 가능한 천리안위성 2B호를 개발 운영 중이다.
천리안위성 1호 개발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독자 개발 기상위성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천리안위성 2A호는 천리안위성 1호의 임무를 승계받아 한층 더 향상된 기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천리안위성 2B호는 한반도 주변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국가간 갈등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위성 1호에 이어 천리안위성 2A호, 2B호 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본체 개발 기술은 향후 통신방송위성이나 항법위성 개발 시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천리안위성 2호 개발을 통해 구축한 중형급 정지궤도위성의 국내 독자모델은 앞으로 다양한 정지궤도위성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위성 개발 비용 절감과 기술의 신뢰성 향상으로 국내 정지궤도위성 개발 기술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분 | 천리안위성 2A호 | 천리안위성 2B호 | |
---|---|---|---|
기상탑재체 | 해양탑재체 | 환경탑재체 | |
해상도 | 국부관측, 확장국부관측,전구관측: - 가시광선 : 1km (0.6μm대역: 0.5km) - 적외선 : 2km |
지역관측 : 250m(직하점) 전구관측 : 1000m |
7km(서울기준 남북방향) |
채널수 | 16 채널(가시광선: 4채널, 적외선 12채널) | 13 채널(가시광선 9채널, 근적외3채널, 광대역폭1채널) | 1000채널(0.2㎚×1000 분광자료수신) (초분광기, 자외/가시채널) |
관측주기 | 국부관측 : 30회/시간 확장국부관측 : 30회/시간 전구관측 : 6 회/시간 |
지역관측 : 10 회/일(낮) 전구관측 : 1회/일(낮) |
8회 이상/일(낮) |
관측시간 | 국부관측 : ≤ 2 분 전구관측 : ≤ 10 분 |
지역관측 : 매시 30 분(낮) | 매시 45분~15분(낮) |
관측영역 및 영상 | 전구(FD) 확장국부관측(ELA): 3,800km(동서)×2,400km(남북) 국부관측(LA) :1,000km×1,000km | 지역관측(LA) : 2,500km×2,500km 전구관측(FD) | 지역관측 (동아시아): 5,000km×5,000km |
개발기관 | Harris(미국) | Airbus사(프랑스)와 항우연 공동개발 | BATC사(미국)와 항우연 공동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