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협력 무인이동체 운용 개념도. 
왼쪽에는 '자율협력운용(육상)' 영역으로, 드론과 자율주행 차량이 이동체 간 통신을 통해 협업하며 임무를 수행함. 
중앙에는 '육공분리합체(15kg 컨테이너 모듈)' 영역으로, 드론과 무인기가 모듈을 협력 운송함.
상단에는 '육해공 통합네트워크' 설명이 있으며, 위성통신과 지상망을 통해 최대 50km까지 통신 가능함.
오른쪽 상단에는 '자율협력운용(해양)'으로, 드론과 무인선박이 협력하여 이동제어, 통신, 작업을 수행함. 
하단에는 '해양확합운용(함구에서 1,000km+ 무인자율운용)' 영역으로, 수중음향통신과 무인잠수정(PC-AUV, BC-AUV)이 장거리 해양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운용됨.
무인이동체의 협력 운용 개념도 이미지. 
산림 지역에서 자율주행 차량과 드론이 함께 작업을 수행하며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됨. 
1번 Ad-hoc 네트워킹: 드론과 차량 간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 네트워크 구성.
2번 클라우드 네트워크 컴퓨팅: 드론이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어 임무 정보를 공유하고 처리함.
3번 인공지능 기반 임무 최적화: 사람이 AI를 통해 임무를 분석하고, 무인이동체에 지시함.
4번 임무시간 연장: 드론이 교대로 배터리를 절약하거나 보조함으로써 임무 지속 시간을 늘림.
 

통합운용 무인이동체 기술실증기 개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미래 기술·사회적·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차세대 무인이동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자율협력형 무인이동체 연구를 통해 육해공 영역에서 이종환경간 통합운용을 위한 기술기반을 구축한다. 육상, 해양, 공중의 무인이동체는 지상이나 해상의 고정된 통신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 이종의 무인이동체간 직접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자율지능형 군집운용 기술에 의해 부여받은 공통적인 임무를 인간 운용자의 도움 없이 무인이동체간 협력하여 수행한다.

육공복합형 무인이동체 연구를 통해 이기종간 분리합체를 포함한 정밀협업기술을 개발한다. 육상과 공중의 무인이동체는 도킹-언도킹 복합운용을 통해 24시간 자율 무인배송 시스템 구축과 같은 임무가 가능하다. 장거리 운송용 무인항공기는 수직이착륙 및 고정익 모드 순항이 가능하고, 단거리 배송용 육상 드로이드는 도심 내 자율주행을 통한 최종 목적지 배송이 가능하다.

해양복합형 무인이동체 연구를 통해 수상과 수중에서 통합운용되는 기술을 개발한다. 무인선과 동력형 무인잠수정, 부력형 무인잠수정으로 구성되며, 무인선과 무인잠수정간 진수 및 회수 기술, 다중 통신 네트워크 구성, 장기간 운용을 위한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 해양 무인이동체간 자율협업기술 등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수상-수중 광역 복합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 목표 : 고차원적 임무수행을 위해 육해공 복수환경 병용, 이종다수 무인이동체 간 협력 등 통합운용 기술실증기 개발
  • 관련기술 : 자율협력형 육해공 무인이동체, 육공 분리합체형 무인이동체, 수상-수중 복합형 무인이동체 기술
연관 컨텐츠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소형민수헬기 축소로터 풍동시험 신개념 계류비행선(Flying tower) 위성종합관제실_3 위성종합관제실_2 위성종합관제실_1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4)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3)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2)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