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인공위성 연구개발은 1994년 종합과학기술심의회에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개발 사업을 의결하면서 시작됐다.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현재 고정밀 레이더 위성인 아리랑위성 6호와 최첨단 수준의 정밀 지구관측광학위성인 아리랑위성 7호와 아리랑위성 7A호를 개발 중이다.
또한, 독자적인 기상 및 해양관측 서비스가 가능한 천리안위성 1호를 개발했으며, 천리안위성 1호 보다 더 정밀한 기상관측이 가능한 천리안위성 2A호, 해양관측 및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대기환경 관측이 가능한 천리안위성 2B호를 개발 했다. 특히 천리안위성 2B호는 한반도 주변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국가간 갈등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실용위성과 정지궤도위성 개발로 독자적인 위성 개발 기술을 확보하였고 국내 위성 산업화를 목표로 민간 산업체에 위성 기술 이전을 위한 500kg급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2021년 발사했다.
구분 | 아리랑위성(다목적실용위성) | 차세대중형위성 | ||||||||
---|---|---|---|---|---|---|---|---|---|---|
1호 | 2호 | 3호 | 3A호 | 5호 | 6호 | 7호 | 7A호 | 1호 | 2호 | |
위성 형상 | ![]() |
![]() |
![]() |
![]() |
![]() |
![]() |
![]() |
![]() |
![]() |
![]() |
개발 목적 | 지구관측(광학) | 지구정밀관측(광학) | 지구정밀관측(광학) | 지구정밀관측(광학+적외선) | 전천후지구관측(영상레이더) | 전천후지구관측(영상레이더) | 지구정밀관측(광학+적외선) | 지구정밀관측(광학+적외선) | 지구관측(광학) | 지구관측(광학) |
사업 기간 | ’94.11~’00.1 | ’99.12~’06.11 | ’04.8~’12.8 | ’06.12~’15.12 | ’05.6~’15.6 | '12.12 ~ '25.6 | '16.8~'25.12 | '20.2~'27.5 | '15~'21 | '18.1~'25.12 |
중량 | 470kg | 800kg | 980kg | 1,100Kg 내외 | 1,400Kg 내외 | - | 1850kg | - | 500kg급 | 500kg급 |
임무 수명 | 3년 | 3년 | 4년 | 4년 | 5년 | - | 5년 | - | 4년 | 4년 |
주요 성능(해상도) | 흑백 6.6m | 흑백 1m 칼라 4m | 흑백 0.7m 칼라 2.8m | 흑백 0.55m 칼라 2.2m | 레이더 영상 1m/3m/20m | - | 흑백 0.3m 칼라 1.2m | - | 흑백 0.5m 칼라 2m | 흑백 0.5m 칼라 2m |
발사체 | Taurus(미) | Rockot(러) | H2-A(일) | Dnepr(러) | Dnepr(러) | - | Vega-C(프) | - | Soyuz-2(러) | - |
발사장 | 반덴버그(미) | Plesetsk(러) | 다네가시마(일) | Yasny(러) | Yasny(러) | - | 기아나(프랑스령) | - | Baikonur(카자흐스탄) | - |
발사일 | ‘99.12.21 | ‘06.7.28 | ‘12.5.18 | ‘15.3.26 | ‘13.8.22 | 예정 | ‘25.10(예정) | 예정 | ‘21.3.22 | 예정 |
운용 현황 | 임무종료(07.12) 운용종료('08.2) | 임무종료('15.10) | 임무 수행중 | 임무 수행중 | 임무 수행중 | 개발중 | 개발 완료(‘24.3) 발사 대기 | 개발중 | 임무 수행중 | 개발중 |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40여 년 늦은 1990년대 중반에서야 국가 주도로 위성 개발을 시작했지만,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로 현재 세계 6~7위권의 인공위성 개발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 최첨단 수준의 인공위성 설계, 해석, 조립, 시험 기술을 확보했으며 다양한 국내 위성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위성 개발에 필수적인 첨단의 위성 시험 시설과 위성 운용 인프라 및 기술, 위성정보 활용 기술 등도 보유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세계적 수준의 인공위성 연구개발을 통해 첨단 기술을 적용한 저궤도 지구관측위성과 정지궤도위성 개발 기술을 축적하였으며, 최근에는 국내 위성 산업 발전을 위해 민간 산업체에 그 동안 축적한 위성 개발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
구분 | 공공 정지궤도위성 | |||
---|---|---|---|---|
천리안1호 | 천리안2A호 | 천리안2B호 | 천리안3호 | |
형상 | ![]() |
![]() |
![]() |
![]() |
목적 | 공공통신/해양/기상관측 | 기상/우주관측 | 해양/환경관측 |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 |
개발기간 | ’03.9∼’10.12 | ’11.7∼’20.10 | '21.4~'27.12 | |
발사일 | ’10.6.27 | ’18.12.5 | ’20.2.19 | 예정 |
중량 | 2,460kg | 3,507kg | 3,386kg | 약 3,500kg |
수명 | 7년 | 10년 | 10년 | 15년 |
위성체개발 | Astrium사 (프랑스)/항우연 공동개발 | 항우연 | 항우연 | 항우연 |
발사체 | Ariane5(프랑스) | Ariane5(프랑스) | Ariane5(프랑스) | - |
발사장 | 남미 기아나(프랑스) | 남미 기아나(프랑스) | 남미 기아나(프랑스) | - |
특이사항 | 국내 최초 개발 정지궤도위성 | 국내 독자개발 정지궤도위성 | ||
운용 현황 | 기상관측 임무 종료(‘20.4.1) | 임무 수행중 | 임무 수행중 | 개발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