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69-84
  • 개관 : 1996년
  • 면적 : 2만 5970㎡
  • 주요시설 : 조립 및 정밀정렬시험실, 발사환경시험실, 궤도환경시험실, 전자파환경시험실
위에서 내려다본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 3D 도면 이미지. 각 시험동(EMI/EMC, 열진공, 진동, 음향, 대형 진동 등)과 위성 조립·통합홀의 위치가 영어로 표시되어 있음.
01

우주 시대를 선도하는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는 1996년 우리나라 최초의 전용 위성 조립 및 우주환경 시험 시설로 문을 연 이래, 축구장 4개 크기에 달하는 25,970 ㎡의 광활한 공간에 첨단 우주 시험 생태계를 구축해 왔다. 세 곳의 궤도환경시험실, 각 두 곳의 발사환경시험실, 전자파환경시험실, 조립실까지, 모든 시설은 ISO class 7 이상의 청정실로 운용되며, 위성, 우주탐사선, 발사체가 직면하는 극한 조건을 완벽히 재현하도록 설계되었다. 구조·동특성, 열·진공, 전자파 시험을 한 공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스톱 검증 체계를 갖추었으며, 지금까지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달착륙선과 한국형 발사체 등 다수의 국가 핵심 우주 프로그램을 이곳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는 축적된 경험과 고도화된 시설 및 장비를 바탕으로 최고 수준의 조립 및 시험 인프라를 제공하여 앞으로도 한국 우주개발 프로그램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넓은 청정실 내부에서 위성 본체가 작업대에 세워져 있고, 작업자들이 리프트를 이용해 위성을 점검하는 모습.
통신해양기상위성(COMS) 비행모델을 청정실에서 작업자가 점검하는 모습. 위성은 패널과 전자장비가 복잡하게 결합된 구조이며 연구원들이 장비로 상태를 확인 중.
 
02

조립 및 정밀정렬시험실

위성 및 우주탐사선의 조립과 정밀 정렬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대형 조립실과 소형 조립실 두 곳을 운영하고 있다. 위성 및 우주탐사선의 본체에 구성 유닛을 조립하는 초기 공정부터, 발사장으로 이송되기 전 최종 형상을 완성하는 단계까지 위성 및 우주탐사선은 환경시험 기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이 곳에서 보낸다. 정확한 자세제어 성능 확보를 위해 광학 계즉 장비로 각 구성품과 구조물의 상대/절대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정렬한다.  

바닥에 육각형 테스트 테이블 위에 설치된 위성 본체가 각종 전선과 센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위에는 시험 설비가 배치되어 있는 모습.
금색 방열재로 감싸진 위성이 삼각대 같은 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에 세워진 여러 대의 측정용 스캐너가 위성을 향하고 있는 모습.
 
03

발사환경시험실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의 발사단계에서 작용하는 진동, 충격 및 음향 하중에 대한 환경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기술로 개발된 640kN 급 대형수직가진시스템(QUAD), 280kN 급 중대형가진시스템, 160kN 급 부품형가진시스템, 80kN 급 소형진동시험시스템 및 대형음향시험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정적/동적 질량계측을 위한 질량측정 시스템, 자유낙하 및 파이로 충격 시험장치, 구조물 모드시험 계측/분석 시스템 등을 운영하고 있다.

거대한 열진공 챔버 안에 위성이 설치된 모습. 챔버 내부에는 수많은 조명이 켜져 있고, 위성은 금색 열차폐재로 둘러싸여 있음.
열진공 챔버 내부를 측면에서 본 모습. 금속과 반사재로 이루어진 복잡한 열교환 및 진공 배관 구조가 보임.
 
04

궤도환경시험실

지구궤도 및 심우주의 극한 환경(고진공: 10억분의 1기압 이하, 고온: 100℃ 이상, 극저온: -180℃ 이하)을 모사하여 인공위성 시스템 및 부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지상에서 사전 검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유효직경 8m, 길이 10m 규모의 대형열진공챔버(LTVC)를 비롯하여 광학탑재체 시험을 위한 광학열진공챔버(OTVC), 중·소형 열진공챔버, 열주기챔버 및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베이크아웃챔버 등을 운영하고 있다.

EMC(전자파 적합성) 시험실 내부에서 금색 방열재로 둘러싸인 위성이 대형 흡음재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테스트를 받고 있는 모습. 위쪽에는 태극기가 걸려있음.
또 다른 EMC 시험실에서 위성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로 테스트를 받고 있는 모습. 위성 주변은 뾰족한 파란색 전자파 흡수체로 둘러싸여 있음.
 
05

전자파환경시험실

위성의 운용 환경에서 접하게 되는 복사성 및 전도성 전자파 노이즈 환경에 대한 적합성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DC~ 40 GHz 주파수 대역 측정 시스템 및 200 V/m 전기장 발생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위성 시스템의 EMI/EMC 규격 뿐만 아니라 Military Standard 461G에 따른 시험 수행이 가능하다.

연관 컨텐츠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소형민수헬기 축소로터 풍동시험 신개념 계류비행선(Flying tower) 위성종합관제실_3 위성종합관제실_2 위성종합관제실_1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4)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3)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2)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