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

  • 총길이 : 약 47.2m
  • 총중량 : 200톤
  • 직경 : 3.5m
  • 추력 : 1단 300톤(75톤급 엔진 4기)/ 2단 75톤(75톤급 엔진 1기) / 3단 7톤(7톤급 엔진 1기)
  • 발사일 : 2021년 10월 21일(1차 시험비행) / 2022년 06월 21일(2차 시험비행) / 2023년 5월 25일(3차 비행)
주요 연구개발 성과물

주요 연구개발 성과물의 3D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누리호 SPEC

누리호의 스펙을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대에서 화염과 함께 솟구쳐 오르는 모습. 발사대 주변에는 거대한 연기 기둥이 형성되어 있다.
 
누리호가 강렬한 화염을 내뿜으며 발사대를 벗어나 상승하는 모습. 옆에는 초고층 발사 지지대와 여러 통신탑이 보인다.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누리호가 위쪽으로 곧게 비행하며 긴 화염과 연기를 내뿜는 모습.
 
멀리서 바라본 누리호 발사 장면. 길게 이어진 불꽃과 연기 기둥이 하늘로 뻗어 있고, 지상에는 발사장에서 피어오른 구름 같은 연기가 보인다.
 
누리호가 하늘 높이 올라가며 발사대 부근에는 연기 구름이 넓게 퍼져 있는 모습. 주변 산과 바다 풍경도 함께 보인다.
 
누리호가 연기 기둥을 뒤로하며 수직으로 힘차게 비상하는 모습. 맑은 하늘 아래 발사 순간의 에너지가 느껴진다.
 
누리호가 멀리 상공으로 날아가며 발사대 주변에는 여전히 연기가 크게 퍼져 있는 모습. 산과 바다를 배경으로 발사 장면이 펼쳐진다.
 
발사 준비를 마친 누리호가 발사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모습. 옆에는 초록색 발사 지지대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맑은 하늘 아래 발사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누리호. 파란색과 초록색 구조물에 고정되어 발사 준비 중이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초록색 발사 지지대와 함께 세워진 모습. 발사대 주변에는 준비 중인 기술진들이 보인다.
 
01

독자 기술로 우주발사체 개발 및 발사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km 태양동기궤도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이다. 사용되는 엔진은 75톤급 액체엔진과 7톤급 액체엔진으로 1단은 75톤급 엔진 4기를 클러스터링해서 구성하고, 2단에는 75톤급 엔진 1기, 3단에는 7톤급 엔진 1기가 사용된다.
한국형발사체(누리호)는 설계, 제작, 시험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1단형 발사체로 우리나라는 시험발사체 발사 성공으로 세계 7번째로 75톤급 이상의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그 후 75톤급 엔진 4기를 하나로 묶는 클러스터링 기술이 적용된 1단 종합연소시험을 수행했으며,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 1차 비행시험이 진행되었다. 이후 2022년 6월 21일 2차 비행시험을 통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였으며,2023년 5월 25일 3차 발사에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향후 누리호는 2025년, 2026년, 2027년 각 1회의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

02

한국형발사체(누리호) 단계별 개발계획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누리호 개발 단계 표 : 1단계('10.3~'15.7), 2단계('15.8~'19.3), 3단계('18.4~'23.6')에 대한 표 입니다.
1단계('10.3~'15.7) 2단계('15.8~'19.3) 3단계('18.4~'23.6)
7톤급 액체엔진 개발, 시험설비 구축 75톤 액체엔진 1기를 이용한 시험발사(’18.11월) 75톤급 4기(1단)+75톤급 1기(2단)+7톤급 1기(3단)을 총 조립한 누리호 발사
초록색 발사 지지대 옆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모습. 뒤쪽에는 언덕이 보인다.
 
누리호가 발사대에서 수평 상태에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보여주는 이미지. 각 단계마다 각도가 다르게 세워져 있다.
 
맑은 하늘 아래 발사 지지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누리호의 모습. 초록색 구조물과 주황색 통신탑이 함께 보인다.
 
여러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 발사대에 세워진 누리호. 뒤에는 푸른 산이 배경으로 보인다.
 
발사 준비 중 누리호가 단계적으로 기립하는 모습. 다양한 각도로 세워진 상태의 로켓들이 일렬로 나란히 보인다.
 
밝은 날씨에 누리호가 발사대에서 기립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보여주는 모습. 지켜보는 사람들이 앞쪽에 서 있다.
 
특수 차량에 실린 누리호가 발사장으로 이동 중인 모습. 초록색 발사 지지대가 멀리 배경으로 보인다.
 
누리호가 조립동에서 특수 차량에 실려 출고되는 모습. 주황색 경고콘과 건물 벽면, 주변 관계자들이 함께 보인다.
 
03

우주발사체 핵심 기술 확보

누리호는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모든 과정을 우리 독자 힘으로 수행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다. 누리호 개발의 핵심 중 하나는 추력 75톤급 액체엔진과 누리호 전체 부피의 70~80%를 차지하는 연료와 산화제를 담는 추진제 탱크 개발이다.
75톤급의 중대형 액체엔진은 나로호 개발 당시 선행연구로 진행한 30톤급 액체 엔진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해, 연소불안정 현상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상 연소시험과 시험발사체 발사를 통한 비행성능 시험을 거쳐 세계 7번째로 중대형 액체엔진 개발에 성공했다.
또한 지름이 3.5m에 달하지만,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는 2~3mm 정도에 불과해 설계와 제작에서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던 대형 추진제 탱크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그리고 나로호 개발 당시 엔진 핵심 구성품에 대한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설비가 없어 해외 시험설비에 의존했었지만 현재는 나로우주센터에 엔진 핵심 구성품, 엔진 시스템, 추진기관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을 완료했다.

  • 1차 발사 (‘21. 10. 21.)
  • 2차 발사 (‘22. 06. 21.)
  • 3차 발사 (‘23. 05. 25)
  • 향후계획
연관 컨텐츠
누리호 FM4 1단 엔진 수락시험4 누리호 FM4 1단 엔진 수락시험3 누리호 FM4 1단 엔진 수락시험2 누리호 FM4 1단 엔진 수락시험1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11)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10)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9)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8)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7)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6)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5) [누리호 3차 발사] 누리호 발사(4)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