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리안위성1호의 해양탑재체(GOCI-I)는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한반도주변(2500km × 2500km) 해양을 상시 관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해양탑재체(GOCI-I)는 해상도 500m로 하루 8회 한반도 주변을 관측하며 매 관측 시 8개의 채널 데이터를 제공하여 13종의 관측 결과를 생산한다.
천리안위성 2B호 해양탑재체(COCI-II)는 관측성능이 1호 대비 4배 향상된 250m 해상도로 해양을 관측한다. 13개의 관측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시광선 9 채널, 적외선 3 채널, 광대역 1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탑재체(COCI-II)는 하루 10회 30분 한반도 주변 관측 및 하루 1회 240분 전구 관측을 수행하여 1호 대비 2배 증가된 26종의 관측결과를 생산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탑재체(GOCI-II)는 해양의 탄소순환을 관측하고, 적조/녹조와 염분농도 등 해양환경과 유류오염과 같은 해양오염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해류의 순환, 어류 먹이정보, 해수면 온도의 분포 등의 관측을 통해 어장 환경변동 예측정보를 제공한다. 이처럼 해양탑재체는 위성 기반 융복합 분석자료를 준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우리의 영해 및 배타적 경제수역 내의 지속적인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적조/녹조 등의 해양 이변에 의한 해양 재해/재난을 조기에 대응하고 전 지구 기후변동에 대응한 해양 생태계 변동 예측자료를 생산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다.
구분 | 천리안위성 1호 | 천리안위성 2B호 | 비고 |
---|---|---|---|
관측해상도 | 500 x 500 m² | 250 x 250 m²(@130E, 0N)(전구관측: 1000 x 1000 m²) | 약 4배 향상 |
관측채널수 | 8 채널 (가시: 6, 근적외: 2) | 13 채널(가시: 9, 근적외: 3, 별촬영: 1) | 약 1.6배 증가(별촬영 채널추가) |
관측횟수 | 8회 /1일 (전구관측 기능없음) | 지역관측: 10회/1일, 전구관측: 1회/1일 | 약 1.3배 증가 |
운영수명 | 7 년 | 10 년 | 운영 수명 증가 |
관측모드 | 기준지역관측, 태양보정 | 기준지역관측, 전구관측, 선택적지역관측, 태양보정 / 달보정, 별촬영 | 다양한 관측모드 운용 가능 |
신출물 | 13종 | 26종 | 약 2배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