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개발중)

  • 제원 : 임무수명 15년, 3.5톤급 정지궤도 위성
  • 운용궤도 : 정지궤도
  • 임무 : 재난·재해 통신, 홍수 등 수재해 감시, 정밀항법보강 지원 등
  • 탑재체: 플렉서블 광대역 통신탑재체, 정보수집 탑재체, 위성항법보정 탑재체
01

재난·재해 긴급 통신과 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 정밀항법보강 지원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은 천리안위성 2A/2B호의 뒤를 이어 개발되는 정지궤도위성으로 천리안위성 1호(‘10.6월 발사)의 통신임무 승계 및 재난․재해 대비와 공공 위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7년 하반기 발사 예정으로, 적도 상공 동경 128.2˚에 위치해 통신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홍수 등 수재해 감시정보의 안정적 확보, 지상망 붕괴 지역에 대한 긴급통신 지원, 해양경찰의 해양 안전 및 주권 수호 활동, 항공기 안전 운항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은 천리안위성 1·2호 개발로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독자개발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수요 대응 및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02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형상

태양전지판을 동서 방향으로 펼친 정지궤도 위성의 3D 다이어그램. 위성 본체에는 다양한 안테나와 추적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부품에 대한 한글 및 영문 라벨이 빨간색 선으로 연결되어 표시됨. 주요 라벨로는 ‘위성항법보정탑재체 수신안테나(SBAS C-band Antenna)’, ‘위성항법보정탑재체 송신안테나(SBAS L1/L5-band Antenna)’, ‘항법수신안테나(GNSS L2C Antenna)’, ‘정보수집탑재체 안테나(DCS L-band Antenna)’, ‘Ka 대역 급전부(FBCS Rx Feed Assembly)’, ‘Ka 대역 전개형 반사판 안테나(FBCS Tx, Rx Reflector)’, ‘화학추력기’, ‘전기추력기’, ‘원격측정명령 안테나’, ‘태양전지배열기’ 등이 표시되어 있음. 동서남북 방향이 파란 화살표로 이미지 바깥에 표기되어 있음.
주관부처
우주항공청
사업기간
2021년 ~ 2027년
참여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경찰청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형상: 항목, 공공복합통신위성 주요제원에 대한 표입니다.
항목 공공복합통신위성 주요제원
임무 수명 15년
임무 궤도 정지궤도 동경 128.2도
탑재체 플렉서블 광대역통신 탑재체(Ka대역)
위성항법보정 탑재체(L/C대역)
정보수집 탑재체(L대역)
03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임무

  • 재난/재해 상황에 긴급 대응을 위한 재난 위성통신 체계 구축
  • 안정적인 산/강/댐의 수재해 감시 정보 확보 및 해경 위성 통신 지원
  • 위성항법보정 서비스를 위한 해외 의존 탈피 및 국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 지상-위성망 연계기술 개발 및 첨단 위성통신기술 테스트베드 제공
연관 컨텐츠
천리안 2B호 해양위성영상 천리안위성 2A호 전구영상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전 준비(5)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전 준비(4)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전 준비(3)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전 준비(2)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전 준비(1) 환경시험을 위해 이동하는 천리안위성 2B호 태양전지판을 전개한 천리안위성 2B호 천리안위성 2B호에 해양탑재체를 탑재하고 있다 천리안위성 2B호 태양전지판 결합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