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미래 우주비행체
  • 임무고도 : 300km
  • 중량 : 4,800kg 이하
  • 폭 : 5m 이하
  • 길이 : 7m 이하
성층권 상공을 비행 중인 우주비행기 개념 이미지
구름 위를 비행하는 우주비행기 렌더링 이미지
풍동시험 장치에 고정된 우주비행기 형상의 금속 모형
각도를 조절하며 풍동 테스트 중인 우주비행기 금속 모형
 
01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무인 우주비행기는 로켓으로 지구의 저궤도에 발사되며, 궤도비행을 하면서 지상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 후 비행기처럼 지상으로 활공하여 착륙하는 재사용 우주비행체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9년 ‘우주비행기 형상 및 기초기술 연구’를 기관 연구과제로 선정해 3년간 무인 우주비행기의 기초기술 연구를 수행하였고, 2023년부터 6년간 기본사업으로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개발 및 재진입환경 지상시험’ 과제를 수행한다.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연구는 4개 세부과제로 나누어, 우주비행기의 형상 설계 기술, 극초음속 공기역학, 열공력 가열, 재진입 최적 궤적 설계, 활공 및 착륙비행 자동제어, 열방어시스템 설계, 고온 구조 및 세부계통 설계 기술 연구와, 우주비행기의 지구 재진입시 극초음속부터 착륙단계의 아음속까지 다양한 비행환경에 대해 지상시험장치를 이용한 시험과 축소형 기체를 이용한 활공착륙시험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한 분야별 핵심기술은 지구 귀환 캡슐 및 한국형 무인 우주비행기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

02

누리호로 발사, 지구 저궤도에서 임무 수행

무인 우주비행기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유상하중으로 탑재되어, 지구 저궤도에서 주어진 임무를 완료하고 비행시험장 활주로에 착륙하는 것을 예상하여 임무형상을 설계한다. 주어진 임무로는 지상관측 및 궤도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미세중력을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등의 생물학 연구, 부력의 제거를 통한 신소재 개발 연구 등 미세 중력 실험, Thermocouple Pyrometer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재진입 시 발생하는 공력가열과 그로 인한 깍여나가는 삭마량측정 등의 실험을 실시한다.
임무 고도인 300km에서 비행하는 무인 우주비행기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유상하중을 고려해 중량 4,800kg 이하, 폭 5m 이하, 길이 7m 이하로 설계되어야 하며, 초기 속도 7,000m/s로 재진입에 돌입하고 활주로에 활공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03

미래 우주비행체 개발기술 확보 기대

우주비행기 기술 실증기는 해외 사례에서처럼 실기체 시험, 모델 시험 등의 방법을 통해 시험 평가할 수 있으며, 기술 실증기의 기체를 실제 우주 궤도, 또는 준궤도로 발사해 통신 등의 기술 시험과 공력 특성 등을 파악한다. 한국형발사체의 경우 페이로드 크기가 소형 무인 우주기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기 때문에 무인 우주기의 발사를 해외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우주비행기 기술 연구를 통해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외에도 미래 우주 연구에 필요한 행성 탐사용 우주수송선, 스크램제트 극초음속비행기 등 다양한 비행체 설계·개발을 위한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우주비행기 설계를 위해 활용될 극초음속유동에서의 공력가열 해석과 열방어시스템 설계기술은 지구로의 재진입이 필요한 모든 우주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 기술을 우주비행체 설계 기술에 적용해 연구를 진행하게 되면 이후 개발할 다양한 우주비행체에 대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컨텐츠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소형민수헬기 축소로터 풍동시험 신개념 계류비행선(Flying tower) 위성종합관제실_3 위성종합관제실_2 위성종합관제실_1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4)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3)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2)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