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KARI TV

대한민국이 달에 갑니다 국민이 정한 대한민국 최초 달 탐사선의 이름 「다누리」 대한민국 우주탐사의 첫 장을 열다!
2022-05-22 1369 32
해시태그
NASA섀도캠 고해상도카메라 달의자원탐사 달탐사 미세자기장측정 우주기술 우주인터넷 한국형달탐사선
요약 이 영상에서는 지난 60년 동안 인류의 달 탐사 도전과 대한민국의 달 탐사 계획에 대해 설명합니다. 2016년부터 시작된 한국형 달 탐사선 개발 과정과 2021년에 완성된 심우주 안테나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2022년 8월, 달로 출발한 탐사선은 150일간의 긴 여정을 거쳐 여러 번의 궤도 변경과 감속 기동을 통해 달 궤도에 진입합니다. 탐사선은 1년 동안 매일 12바퀴를 돌며 고해상도 카메라로 달을 촬영하고, 착륙 가능한 지역의 지도를 작성합니다. 또한, 달의 에너지원과 자원을 탐사하고, 우주의 풍화 작용을 연구하며, 우주 인터넷 통신 기술을 검증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하여 달의 기원을 탐구하고, 미항공우주국의 섀도캠이 달에서 우를 찾는 작업도 포함됩니다. 공공누리 공공누리 1유형
대한민국 최초 달 탐사선 KPLO 대한민국 명칭 공모 "달 탐사선의 이름을 지어주세요" 국민 응모 건수 62,719 1,2차 심사로 10건의 후보를 선정 다가온, 다누리, 다래온, 다산, 달마루지, 달마주, 달수리, 미리온, 별마루, 최순달 국민 선호도 조사 확대 전문가 평가 공개 검증을 거쳐 대한민국 달 탐사선의 새로운 이름이 탄생했습니다 다누리 '달'에 누리다의 '누리'를 더해,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길 바라는 마음 대한민국이 달에 갑니다 달 근처로 날아가기 1959년 루나1호 달 근접 비행 달에 충돌하기 1959년 루나2호 달 표면 충돌 달궤도 진입하기 미국, 러시아, 중국, 유럽, 일본, 인도 6개 나라 달에 착륙하기 미국, 러시아, 중국 3개 나라 지난 60년 동안 달을 향한 인류의 도전은 계속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대한민국이 세계 7번째로 달에 갑니다. 달 탐사선 개념설계 및 달 탐사 핵심기술연구 2016년부터 한국형 달 탐사선 개발을 시작해 2021년 달 탐사선과 통신할 심우주 안테나를 완성하고 우주 환경시험과 최종 점검을 거쳐 2022년 8월 달로 출발합니다. 국내 최대규모의 심우주 안테나 200만km 이상 통신 가능 다누리의 여정(달 궤도 전이 방식) 다누리는 150일간의(22.8.3~22.12.31) 긴 여정 동안 몇 번의 기쁨과 슬픔을 겪었습니다.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적은 연료로 달 궤도 진입 긴 여정 동안 몇 번의 궤도 변경과 다섯 번의 감속기동을 통해 달 궤도에 진입, 임무 궤도 : 고도 100km 원궤도 1년 동안 매일 12바퀴 달을 돌면서 임무를 수행합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해상도카메라(LUTI) 고해상도 카메라는 달 전체를 상세히 촬영하고 우리 달 착륙선이 내릴 수 있는 지도를 만듭니다. 착륙후보지 40여곳 집중 촬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달 원소지도 제작하는 감마선분광기 달의 에너지원과 자원을 탐사하고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영상 및 티타늄 지도 만드는 광시야편광카메라 우주의 품화작용을 연구하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과 파일 전송을 하는 우주인터넷 검증기 / 우주인터넷탑재체(DTNPL) 우주 인터넷 통신기술을 검증합니다 경희대학교 달의 생성 원인을 연구하는 자기장측정기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해 달의 기원을 탐구하고 NASA 섀도 캠 영구음영지역 촬영과 아르테미스 미션 착륙후보지 탐색 미 항공우주국의 섀도 캠은 달에서 물을 찾아나섭니다 더 깊은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첫 번째 도전 "달에 가지 않고 더 먼 우주를 갈 수 없다." 대한민국 달 궤도선 다누리 2022년 8월, 달에 갑니다 KARI TV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버전 다운로드
NICE평가정보 - CheckPlus 안심본인인증 테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