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I TV
더 강하고 효율적으로! 대한민국이 우주로 가는 길을 민간기업과 함께 열어 갑니다
2023-05-15
103
4
요약
이 영상에서는 한국의 누리호 3차 발사 준비 과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발사체의 조립은 작년 12월에 완료되었으며, 3월부터 본격적인 준비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1단과 2단이 결합된 상태로 대기 중이며, 위성들이 3단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이번 발사는 실제 동작하는 위성 8개를 탑재하여 궤도에 안정적으로 진입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전 2차 발사가 발사체 성능 검증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 3차 발사는 위성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또한, 체계종합기업의 참여를 통해 우주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발사체 제작과 시험 평가, 발사 운영에 대한 민간 기업의 참여가 강조되며, 향후 상용 발사 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한 계획도 언급됩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 발사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 2032년까지 달 착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공공누리

-
00:513차 발사 준비 현황
3차 발사를 위한 기체 준비가 작년부터 진행되었으며, 현재 1단과 2단이 결합된 상태로 대기 중입니다. 위성 탑재 및 최종 조립 작업이 계획되고 있습니다.
-
01:45실제 위성 탑재 계획
이번 3차 발사에서는 실제 동작하는 위성을 포함하여 총 8개의 위성을 탑재할 예정이며, 위성들이 궤도에서 안정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02:17위성 서비스 중심의 발사
이번 3차 발사는 실제 작동하는 위성을 정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민간 기업에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이전하여 우주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
03:00체계종합기업의 역할
이번 고도화 사업에서 체계종합기업은 발사체 제작과 시험평가, 발사 운영에 참여하며, 기술 이전과 민간기업의 헤리티지를 활용해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04:06상용 발사 서비스 준비
누리호는 아직 상용 발사체로 개발되지 않았으며,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을 통해 발사 신뢰성을 높이고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 발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
05:52미래 계획 및 목표
2032년까지 달 착륙을 목표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합니다.
저희가 3차 발사를 위한 기체 준비는 작년부터 이미 진행을 해왔었고요.
저희가 누리호 1, 2, 3단에 대한 조립은 작년 12월에 이미 완료를 한 상태였습니다.작년 12월에 이미 완료를 한 상태였습니다.
3월부터 시작해서 본격적으로 3차 발사를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갔고요.
현재 보시는 바와 마찬가지로 1단과 2단이 결합된 상태로 대기 중에 있고요.
위성들이 3단이 탑재가 되고 위성을 보호하는 페어링을 씌운 다음에
다시 조립 등으로 위성을 해와서 마지막 1단, 2단, 3단에 대한 최종 조립
그리고 점검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이번 3차 발사 같은 경우는 씻고 가는 위성들이
저희가 그전에 시험 위성이나 위성 모사체가 아닌
실제 동작하는 위성들을 탑재하게 되겠고요.
큐브 위성들까지 포함하면 총 8개가 됩니다.
그래서 그 많은 위성들을 탑재를 하고많은 위성들을 탑재를 하고
궤도에 올라가서 안정적으로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분리해주는 것이
그런 부분들이 처음 해보기 때문에
가장 신경을 써서 준비했던 부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난 2차 발사가
발사체 자체 성능 검증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면
이번 3차 발사는
실제 작동하는 위성을 정궤도에 진입시키는
위성 서비스에 중심이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 이런 위성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체계종합기업이 참여해서
관련된 기술과 그리고 관련된 운영 노하우를
민간 기업에 이전함으로써
관련된 우주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글자막 by 한효주
한글자막 by 한효주이번 고도화 사업에서 체계종합기업이 해야 하는 업무로써는 우선 첫 번째로 발사체 관련된 제작에 대한 주장, 주관, 그리고 발사체 시험평가를 위한 주관, 그리고 발사 운영에 대한 참여가 되겠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분들이 쌓아놓은 체계종합 관련된 기술과 노하우를 저희가 체계적으로 기술 이전을 받아야 하며 민간기업이 가지고 있는 헤리티지를 활용해서 발사체에 대한 단가를 절감하고 성능 개선을 통해서 향후 상업할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발사체 개발 기간을 8개까지 싣고 가지 않습니까? 그래서 3차 발사가 성공이 된다고 하면 상용 발사서비스에 한걸음 다가간다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중요한 계기이고 그런 중요한 순간이라고 생각이 되는데그런 중요한 순간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아직 누리호 자체가 본격적인 상용발사 서비스를
위해서 개발된 발사체가 아니기 때문에
당장 3차 발사가 성공한다고 해서
우리가 상용서비스로 간다 하기에는 조금 이르고요
그것 때문에 저희들이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을 지금 하고 있지 않습니까
차분히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면서
저희들이 상용발사를 준비를 해야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저희가 발사체 관련된 조립 관련된 부분이나
시험평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실무적으로 참여를 하면서
발사체 관련된 기술들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FM 4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발사체 구성품에 대한 제작 품질관리 그리고 총조립
그리고 시험평가에 관련된 발사체 제작에 관련된
총괄업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할 계획이고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2025년, 2026년, 2027년 각기 다른 상황에서 다른 차 탑재체로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발사를 수행을 해서
2025년, 2026년, 2027년 각기 다른 상황에서 다른 차
본인인증하고 서비스 이용하기
타인의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됩니다.
(관련법률 : 주민등록법 제27조 별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