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구관측과 우주 전략(下)

  • 이름 이옥규
  • 작성일 2016-05-19
  • 조회 7889

  우주시대가 도래한 후 즉시 위성은 지구에 관한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우주의 우월한 정보는 군사, 정보, 통신과 과학의 효율적 배분과 관리를 증가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 주제는 지구관측위성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국과 약 30여개 국가는 독자적 또는 협력적으로 123개 기구를 탑재한 약 78개 민수용 지구관측 위성을 보유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들 시스템에 대한 대략적 총투자비는 500억불과 800억불 사이에 있다. 이러한 인공위성은 연구와 관리목표를 제공하며, 육역활용, 공기 품질, 신선한 물 공급, 해양의 건강상태, 재사용 에너지, 지진 상태와 관련 지질학, 화산발생과 지구 온난화와 같은 자연현상, 지구 기후와 글로벌 탄소순환을 구성하는 광범위한 부수적 변수를 측정하고 감시하는데 있다. 부수적이고 보완적인 지구관측은 항공 장비에 의하여 지상과 해면에서 이루어 진다. 국가안보관측네트워크는 방위 배치와 작전을 위하여 자연과 환경 자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며, 어떤 경우 민간 환경과 재해대응 요구사항을 지원한다. 
  이 주제를 통하여  지구관측은 국내.외 자원에 관하여 독특하게 경제적,  결과적, 전략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우주전략은 그 목표로 민수용 지구관측위성의 배치와 활용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략은 우주상황인식(SSA : Space Situational Awareness), 우주수송, 우주추적과 통신 하부구조를 포함할 수가 있다.  
  국·내외 자원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업무는 자연적인 부를 가지고 투자를 추적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화석과 재생에너지, 공기품질, 농업, 탄소순환과 다른 천연자원에 대한 지구관측위성 시스템에 의한 전세계적 평가 가치는 국가우주전략에 지구관측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비록 자료의 공공 투명성에 따라서 정책결정이 민간부문 자원에 영향을 미칠 때 바람직할 수 있지만, 국가안보시스템 자료와 중복은 유익하다.


※ 참고문헌
Eligar Sadeh, "Space Strategy in the 21st Centrury(Theory and Policy)", 2013.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