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연구개발 투자성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0년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항공우주 핵심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세계 수준의 항공우주 과학기술 개발로 국민경제의 발전과 국민생활의 질 향상에 기여해 나가겠습니다.

30년간 투입 예산 및 인력 변화

예산

(단위:백만원)

1990년:9,095 → 2000년:69,953 → 2010년:367,279 → 2019년:521,123

인력

(단위:명)

97 → 369 → 785 → 961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공적 수행

지난 30년간 항공ㆍ위성ㆍ발사체 분야 대형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성공적 추진으로 다양한 국내 공공 수요를 충족하고, 국내 항공우주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견인

30년간 항공ㆍ위성ㆍ발사체 분야 대형 국가연구개발 사업 추진표로 구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등을 안내합니다.
구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항공 까치호(’92), 쌍발복합재항공기(’97) 반디호(’02), 중형 에어로 스탯(’09) 스마트 무인기(’12),
한국형 헬기구성품 국산화(’12),
고고도 전기동력 무인기(’15)
위성 다목적실용위성 1호(’99) 다목적실용위성 2호(’06) 다목적실용위성3호(’12),
5호(’13), 3A호(’15),
통신해양기상위성1호(’10),
정지궤도복합위성2A호(’18),
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20)
발사체 과학로켓 KSR-I(’93), KSR-II(’97) 과학로켓 KSR-III(’02) 나로호(KSLV-I)(’13),
누리호 시험발사체(’18)

과학기술적 성과

  • 논문 및 학술발표

    총 19,761건 국내 항공우주 전체의 약 9% 차지

  • 특허 및 지식재산권

    총 5,802건 국내 항공우주 전체의 약 54% 차지

  • 기술이전

    기업당 연매출 평균 3.9억원 향상 이전기술 영향도 20.3% 기술이전 기업대상 설문조사 결과

  • 기반시설 구축

    총 29개 기반구축시설의 외부활용율 증가(27.1%→75.5%) *위성 및 항공분야에 한함

  • 기술수준 증가

    약 47.1%p 증가 1999년대 초, 미국(100)대비

  • 경제성장 기여효과 및 산업 파급효과

    경제성장 기여효과

    항우(연) 30년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경제성장 기여효과는 약 18조 7,761억원 (경제성장분 대비 1.48%)으로 산출

    7조 2,845억원 → 18조 7,761억원

    * 1990 ~ 2017년 투입예산, 2018년 현재가치화 기준

    산업 파급효과
    산업파급효과 안내표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 효과등을 안내합니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7조 9,506억원 4조 5,061억원 61,961명

    * 1990~2017년 국내투입비용 기준(간접비제외),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소분류 기준계수 적용하으며,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GDP 디플레이터를 통해 현재가치화함

  • 항공우주 산업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

    협력기관수

    지난 30년 항우(연) 연구개발 활동을 통한 협력 주체가 1990년대 초 대비 최근 3개년(2015~2017)에 약 52배 증가

    1990년대:9개 → 2000년대:54개 → 2010년대:470개

    * 항우(연) 내부자료(과제협력 및 발주, 공동연구 현화자료 등) 분석결과

    외부 재투자비

    항우(연) 연구개발 예산은 시제품제작, 기술도입, 위탁·공동연구 등을 통해 재투자 되어 항공우주 산업생태계 활성화에 기여

    외부 재투자비 안내표로 1990년대, 2010년대 등을 안내합니다.
    1990년대 2010년대
    7,337백만원 1,497,441백만원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