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0년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항공우주 핵심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세계 수준의 항공우주 과학기술 개발로 국민경제의 발전과 국민생활의 질 향상에 기여해 나가겠습니다.

- 우주탐사
- 다누리('22)
- 위성
- 아리랑 위성 1호('99)
- 과학기술 위성 1호('03)
- 아리랑 위성 2호('06)
- 과학기술 위성 2호('09/'10)
- 천리안 위성 1호('10)
- 아리랑 위성 3호('12)
- 과학기술 위성 3호('12)
- 아리랑 위성 5호('13)
- 아리랑 위성 3A호('15)
- 천리안 위성 2A호('18)
- 천리안 위성 2B호('20)
- 차세대 중형위성 1호('21)
- 아리랑 위성 6호(개발 중)
- 아리랑 위성 7호(개발 중)
- 아리랑 위성 7A호(개발 중)
- 천리안 위성 3호(개발 중)
- KPS 위성 1호기(개발 중)
- 발사체
- 과학로켓 KSR-Ⅰ('93)
- 과학로켓 KSR-Ⅱ('97/'98)
- 과학로켓 KSR-Ⅲ
- 나로호 KSLV-Ⅰ 3차('13)
- 누리호 시험발사체('18)
- 누리호 KSLV 1차('21) 2차('22) 3차('23)
- 누리호 KSLV-Ⅱ 4~6차('25~'27)
- 차세대 발사체(개발 중)
- 항공
- 창공91('91)
- 까치호('92)
- 반디호('02)
- 중형 에어로스탯('09)
- 스마트 무인기('12)
-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12)
- 4인승 인증기 KC-100('12)
- 고고도 전력동력무인기 EAV-3('12)
- 쿼드릴트프롭 무인기('18)
- 전기동력 수직이착륙 개인항공기('19~진행중)
국가 항공우주사업 추진의 중심 역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술축적 System & Technology
-
인프라 및 설비 운영 Intrastructure & R&D facilities
-
전문 인력 확보 HumanResources
-
산업육성 및 기술파급 Technology Spillover
-
네트워크 및 우주항공
저변 확대 Global Network & Outreach
기술축적
- 국가 우주항공 기술수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견인
- 국내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
- 세계적 수준의 다양한 지구관측 위성 확보
- 다분야 위성영상 서비스 제공
- 국제 사회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위성영상 제공
- 국가 위성 운영
- 초정밀 위성항법시스템 KPS 구축
- 정밀한 위치정보 실시간 제공 항공위성서비스 KASS 구축
- 국산 소자·부품 신기술 및 탑재체 기술검증 체계 구축
- 우주발사체 자력 기술 확보
- 누리호 반복 발사 및 차세대발사체 개발
- 국가 항공산업의 근간 마련
- 미래 도심간 이동 항공기와 차세대무인기 개발
- 미래기술 선도를 위한 우주항공 기술혁신의 브레인
인프라·설비
-
위성 및 우주탐사선 총조립 시험시설
-
항공시험평가 설비
-
인공위성 발사 종합시설
-
국가위성정보 활용지원센터
-
국가위성운영 센터
-
국가종합비행 성능시험장

위성 및 우주탐사선 총조립 시험시설

항공시험평가 설비

인공위성 발사 종합시설

국가위성정보 활용지원센터

국가위성운영 센터

국가종합비행 성능시험장
전문 인력 확보
산업육성 및 기술파급
-
-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을 통한 산업체로의 위성개발 기술이전
- 민간주도 발사 서비스 기반 구축
- 중소·중견 기업 파트너십 운영
- 한국의 뉴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소형발사체 산업체 지원
- 우주항공 기술 파급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네트워크 및 우주항공 저변 확대
-
- 해외 기관 협력협정 체결(총 32개국 86건)
- 국가 대표기관으로 국제우주항공 분야 커뮤니티 참여
- 우주항공 전문인력 양성


산업육성 및 기술파급
-
-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을 통한 산업체로의 위성개발 기술이전
- 민간주도 발사 서비스 기반 구축
- 중소·중견 기업 파트너십 운영
- 한국의 뉴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소형발사체 산업체 지원
- 우주항공 기술 파급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을 통한 산업체로의 위성개발 기술이전
- 민간주도 발사 서비스 기반 구축
- 중소·중견 기업 파트너십 운영
- 한국의 뉴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소형발사체 산업체 지원
- 우주항공 기술 파급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네트워크 및 우주항공 저변 확대
-
- 해외 기관 협력협정 체결(총 32개국 86건)
- 국가 대표기관으로 국제우주항공 분야 커뮤니티 참여
- 우주항공 전문인력 양성
- 해외 기관 협력협정 체결(총 32개국 86건)
- 국가 대표기관으로 국제우주항공 분야 커뮤니티 참여
- 우주항공 전문인력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