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로 가기 위한 유일한 운송 수단, 우주발사체
우주발사체
우주로 가는 운송수단
미국과 러시아는 1950년대부터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했다. 뒤이어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해 인공위성과 우주탐사선 발사, 우주화물 수송 등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개발한 인공위성은 모두 해외 우주발사체를 이용해 발사됐다. 우주발사체 연구개발이 늦어 우주발사체를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주발사체는 국가간 기술이전이 제한되어 있어 독자 기술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개발비용이 필요하고 기술적 어려움이 많아 기술 확보 까지는 많은 시행착오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 X사의 혁신적인 재사용발사체 등장으로 유럽, 일본 등도 저비용·고효율 발사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세계 여러 스타트업에서는 초소형위성 발사가 가능한 초소형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 우주개발국의 지속적인 증가, 소형위성 개발 증가로 전 세계 상업 우주발사체 시장은 갈수록 확대될 전망이다.순수 국내 기술로 우주발사체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KSR-Ⅰ, 1993년), 2단형 고체추진 중형과학로켓(KSR-Ⅱ,1998),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 과학로켓(KSR-Ⅲ, 2002) 개발을 통해 로켓 설계 및 제작 능력을 길러왔다. 이어 우주발사체 개발 능력 확보를 위해 러시아와의 국제협력으로 1단 액체엔진과 2단 고체엔진으로 구성된 2단형 우주발사체 나로호(2013년 발사 성공) 개발을 통해 우주발사체 기술과 경험을 확보했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고도 약 600-800km의 태양동기궤도에 1.5톤급 실용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3단형의 한국형발사체(누리호)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으며, 오는 2027년 까지 누리호 반복발사를 통해 누리호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발사체 기술의 민간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한국의 로켓 개발 현황
구분 | KSR-I | KSR-II | KSR-III | 나로호(KSLV-I) | 한국형발사체(KSLV-II) | |
---|---|---|---|---|---|---|
목적 | 1단형 무유도 과학 관측로켓 국산화 개발 및 한반도 오존층 탐사 | 초기자세제어 기능을 갖춘 2단형 고체추진 과학관측 로켓의 국산화 개발 | 액체추진로켓 독자 개발 및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독자개발을 위한 기술과 경험 확보 |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에 투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 | |
개발기간 | 1990.7 ~ 1993.10 | 1993.11 ~ 1998.06 | 1997.12 ~ 2003.02 | 2002.08 ~ 2013.04 | 2010.03 ~ 2023.06 | |
개발비(억원) | 28.5 | 52 | 780 | 5,025 | 19,572 | |
길이(m) | 6.7 | 11.1 | 14.0 | 33.0 | 47.2 | |
직경(m) | 0.42 | 0.42 | 1.0 | 2.9 | 3.5 | |
중량(kg) | 1,268 | 2,048 | 6,000 | 140,000 | 200,000 | |
발사일 | 1호기 | 1993.06.04 | 1997.07.09 | 2002.11.28 | 2009.08.25 | 2021.10.21 |
2호기 | 1993.09.01 | 1998.06.11 | - | 2010.06.10 | 2022.06.21 | |
3호기 | - | - | - | 2013.01.30 | - | |
특징 | -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