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ine 유인우주계획 조사위원회
- 이름 관리자
- 작성일 2010-01-15
- 조회 7170
1. Augustine 보고서 개관
☐ Augustine 위원회(U.S. Human Spaceflight Plans Committee)
○ 2009년 5월 미국 백악관 내 과학기술정책실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국장 John Holdren)이 NASA에 미국 유인우주비
행의 현행 프로그램과 향후 계획에 대한 재검토 요청
재검토의 목적은 21세기 미국의 유인우주비행 프로그램이 기술적으로
/재정적으로 확고하고 안정된 기반에 바탕을 두고 있는가의 여부와
미래의 지속적인 유인우주비행의 가능성 검토
○ 유인우주계획 조사위원회 의장: Norman Augustine (Lockheed Martin
의 전 최고경영자)
○ 정부 · 군 · 산업계 · 유인우주비행 분야의 전문가 10인으로 구성
☐ Augustine 보고서 골자
○ 현행 유인우주비행 프로그램은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움
○ Ares I(Crew Launch Vehicle)과 Orion(Crew Capsule) 개발 프로그램
은 2016년까지 그 종료가 불가능
○ 2020년대 초 우주인 달 탐사를 위해, NASA는 500억 달러의 추가자금
필요
○ 회계연도 2010년 예산상, 지구 저궤도 이외의 유인탐사는 실행불가
2. Augustine 보고서 주요내용
☐ 국제협력
○ 유인우주탐사를 위한 미국의 과감하고 새로운 국제협력 주도
국제파트너가 적극적으로 관여할 경우, 유인우주비행 프로그램에
보다 증가된 총체적인 자원의 사용이 가능
☐ 단기 우주왕복선 계획
○ 현행 우주왕복선의 비행은 과도한 일정의 압박 없이 실시
○ 우주왕복선의 임무는 회계연도 2011년 2사분기까지 연장
☐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수명연장
○ ISS 수명연장은 미국과 국제파트너에게 투자회수의 증대를 가져 올 것
으로 예측
○ ISS 수명을 연장하지 않을 경우, 유인우주비행의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미국의 능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것으로 우려됨
☐ 화성탐사
○ 화성은 태양계탐사의 궁극적 목적지
단, 화성이 가장 우선적인 목적지는 아님
○ "Moon First"와 “Flexible Path" 모두 중요한 탐사 전략임
Moon First : 달을 지구저궤도 밖 유인탐사의 첫 목적지로 설정
Flexible Path : 다수의 탐사 목적지 중 선택 및 변경이 가능
예) 달 공전 궤도, 라그란지안 포인트, 지구접근천체, 화성 표면,
달 표면 등
☐ 유인우주비행의 공백
○ Ares I과 Orion은 2017년에 사용 가능하며 따라서 우주왕복선이 2011
년에 철수될 경우, 미국의 유인우주비행은 약 7년의 공백이 발생
Augustine 위원회는 상기 7년의 공백을 6년 이내로 축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나 실패
○ 고정예산 내에서 우주왕복선의 수명을 연장할 경우, Ares I과 Orion
개발비용이 제한되어 Ares I과 Orion 사용은 2010년대 말에 가능
☐ 대형발사(Heavy lift)
○ 지구저궤도 대형발사 능력은 대형 탑제체 발사능력과 함께 우주탐사 ·
국가우주안보 · 과학계에 유익
☐ 우주인의 지구저궤도 접근
○ 우주인의 지구저궤도 접근 방식
정부운영시스템 : Area I과 Orion
상업적 승무원 운송 서비스(Commercial crew-delivery service)
○ 상업적 승무원 운송 서비스의 필요성 증가
저렴한 초기 비용과 생애주기 비용은 미국의 지구저궤도 접근을 촉진
미국의 모든 항공우주기업의 접근이 자유로운 그리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갖춘 새로운 경쟁시스템의 도입이 필요
단, 상업적 서비스에 기술적 위험은 내포
○ 상업적 승무원 운송 서비스가 시행될 경우, NASA는 지구저궤도 탐사
(예, Orion) 이외의 유인탐사에 집중할 수 있음
☐ 우주탐사 및 상업우주를 위한 기술개발
○ 우주기술 프로그램을 위한 계획적인 그리고 충분한 자금지원은 우주
개발의 결정적 요소
상기 투자는 미국의 로봇탐사 · 상업적 우주산업 · 학계 및 기타
미국 정부의 사용자에게 유익
○ 사전 기술개발은 유인우주탐사 전략의 경제적인 진행을 가능케 함
3. 유인우주비행 프로그램 5개 대안
Augustine 위원회는 지속적인 유인우주비행 프로그램을 위한 5개의 대안
제시(아래 표 참조)
1, 2안의 예산 프로파일은 2014년까지 평평하게거나 감소하고, 그 후 연 1.4% 증가함
☐ 제1안 (Option 1)
○ 2011년 회계연도에 우주왕복선을 위한 재원 책정
○ 2016년 회계연도에 ISS 폐기를 위한 충분한 재원 책정
○ 예산의 제약이 있는 경우
Ares I과 Orion은 ISS 폐기 후에 운용가능
초대형 발사체 Ares V는 2020년대 말에 운용가능
최악의 경우, 달착륙선과 달표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자금이 2030년대 말까지
불충분
☐ 제2안 (Option 2)
○ ISS 수명을 2020년까지 연장 및 ISS 이용강화를 위한 재원 포함
○ Ares V(Lite)를 이용한 달 탐사 프로그램 시작
○ 회계연도 2011년까지 우주왕복선 비행 보장
○ 지구저궤도 승무원 운송 상업서비스 개발
○ 2020년대 말까지 Heavy Lift 능력을 못 갖추며, 달 착륙 및 탐사에 필요한 시스템 개발 비용은 불포함
3안 이하의 안들은 지구저궤도 넘어 우주탐사에 보다 적합한데, 2010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매년 30억$이 증가함
☐ 제3안 (Option 3); Baseline Case - 실현 가능 프로그램
○ 2016년 ISS 폐기, Orion · Ares I · Ares V 달탐사 시작
○ 2011년 우주왕복선 퇴역 및 ISS 퇴역 준비 추가 예산
○ 2017년 Orion · Ares I · Ares V 개발완료
○ 2020년대 중반 달 탐사 시작
☐ 제4안 (Option 4); Moon First
달을 지구저궤도 밖 유인탐사의 첫 목적지로 설정
ISS 수명 2020년까지 연장
기술진보를 위한 제원 투입
- 승무원의 지구 저궤도 투입에 상업적인 발사체 이용
○ 제4안A (Variant 4A); Ares Lite
우주왕복선 2011년 퇴역
달 탐사를 위한 Ares V 대형발사체 개발
- 2020년대 중반 달탐사
○ 제4안B (Variant 4B); 우주왕복선 연장
우주왕복선 2015년까지 연장, 유인 우주선 공백기 최소화
- 우주왕복선과 우주왕복선에서 파생된 Heavy Lift 우주발사체간의 시너지 효과
- 2020년대 중반 달탐사
☐ 제5안 (Option 5); 유연 경로
우주왕복선 2011년까지 운용
ISS 수명 2020년까지 연장
기술개발 자금 투입
지구저궤도 상업적 서비스 개발
○ 제5A안 (Variant 5A)
가장 강력한 Heavy Lift Ares Lite 발사체 개발
○ 제5B안 (Variant 5B)
EELV (Evolved Expendable Launch Vehicle) 기반의 상업적 대형발사체 도입
저렴한 운용비용, 그러나 NASA의 대규모 구조조정과 NASA의 역할 변화 수반
○ 제5C안 (Variant 5C)
우주왕복선에서 직접 파생된 Heavy Lift 발사체 개발
- 기존의 인프라와 시설 그리고 생산 능력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
Option 5의 변형들에서는 2020년대 초부터 달 근접비행, 라그란지 점과 지구 근접 물체 방문, 그리고 화성 근접 비행과 같은 이벤트가 매년 일어나며, 화성의 위성과의 랑데부와 달착륙은 2020년대 중반에서 후반에 가능할 것임
위원회는 2010년 예산에 부합하는 두 가지 Option을 발견했으나, 두 방안 모두 가능한 있는 우주탐험 방안은 아님, 위원회는 사실상 2010년 예산에 부합하는 유인 우주탐사 방안을 찾지 못하였음
위원회는 2010년 이후 예산부터 매년 30억$을 증액해야 우주탐사가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임, 이러한 예산 수준에서야 Moon First와 Flexible Path 유인 우주탐사 전략이, 약간은 공격적이지만, 가능한 일정이 될 것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