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SBIR, STTR 프로그램 소개
- 이름 김은정
- 작성일 2014-05-30
- 조회 6159
● NASA의 SBIR, STTR은 NASA의 임무로 계획된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 중소기업과 연구소들을 참여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Space Technology Mission Directorate에서 추진하며 Office of Chief Technology에서 총괄적으로 관리함. SBIR/STTR Reauthorization Act of 2011과 오바마 정부의 ‘Lab to Market' initiative에 연계되어 있음. 이 프로그램은 혁신적 기술의 산업화 및 기업 역량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사업을 활성화하고, 연구개발 성과물을 국가 미션에 활용하도록 하는 두 가지 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음.
● SBIR STTR은 국가 연방정부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임. SBIR은 정부 R&D에 중소기업이 참여하도록 자금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S&T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육성하기 위해 참여기관을 경쟁 방식으로 선정하고 3단계로 진행. 현재 SBIR 프로그램에 11개 연방 기관에서 참여 중. STTR 프로그램은 SBIR과 유사하나 중소기업과 연구기관간 협력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으로 두고 있으며 NASA, DoD(국방부), NSF(국가과학재단) 등 5개 연방 기관이 참여 중. 참여하는 기관은 기관 예산(extramural 부문)의 각 2.7%, 0.35%를 SBIR와 STTR에 지출하도록 하고 있으며(근거: SBIR/STTR Reauthorization Act of 2011) NASA는 연평균 $150-$170 million 정도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음.
● 참가 대상 기관은 500명 미만의 고용인을 둔 high-tech 중소기업이나 비영리 연구소(대학교, 연구실험실)임. 이 기관들은 NASA 미션에 부합하는 기술들을 연구-개발-검증하면서 NASA, NASA외의 정부기관, 일반 민간시장에 까지 진출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회가 되어, 중소 기관에게 seed money로서의 역할을 하게 됨.
● 연구개발 개발 수준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며, 1 단계는 6개월간 최대 $12.5만, 2 단계는 24개월간 최대 $75만의 연구개발금을 지원하고, 3 단계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재원 외에서도 투자가 가능하도록 하고 과제가 비경쟁으로 선정되기도 함.
● 1 단계는 각 기관에서 제안 기술의 과학적, 기술적, 상업적 타당성을 수립하는 단계, 2 단계는 기술 개발 및 검증 단계, 3단계는 기술, 제품, 서비스를 상업화하는 단계로 진행되며, 제안 대비 선정 비율은 1단계 13~15% 정도이고, 2 단계는 1 단계 과제 중 35~40%가 선정되어 2 단계로 연계 추진됨.
● 2 단계와 3단계 사이에 Phase II Enhancement(Phase II-E), Phase II eXpanded(Phase II-X)로 진행되는데 Phase II-E는 II 단계에서 진행 중인 과제를 연장하기 위한 단계로서 제3의 기관으로부터 받는 매칭펀드와 SBIR/STTR에서 $2.5만~$15만을 지원받아 추진되는 과제임. 제3의 기관으로는 NASA, NASA contractor, 일반 산업계 투자자들이 있음.
● SBIR/STTR에서 진행되는 연구 주제들은 NASA의 다른 연구부문(항공, 과학, 유인우주탐사)에서 추진하는 임무에 부응하는 주제이며, NASA의 ‘Space Technology Roadmaps'과 국가 항공분야 R&D 계획상의 중장기 기술개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들임. 또한 각 연구들은 NASA 10개 센터에서 연계하여 관리 중. 현재(‘13년 11월 기준) 진행 중인 기술 분야는 아래와 같이 14개 연구주제로 구성.
※ 출처: 1. NASA SBIR/STTR 홈페이지(http://sbir.gsfc.nasa.gov/) 2. SBIR/STTR Participation Guide(NASA, 2014)
작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은정(정책개발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