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달 착륙 계획
- 이름 이동헌
- 작성일 2016-07-29
- 조회 7679
현재, 미국, 일본, 중국, 인도에서는 달 착륙선을 보내는 탐사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창어 1호를 시작으로 단계적인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여 왔고, 미래의 달 탐사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2007년 10월에 발사된 창어 1호는 200km의 달 원궤도에서 120m의 공간분해능을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월면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향후, 달 탐사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 창어 2호는 2010년 10월에 발사되었는데, 창어 1호를 통하여 확보된 탐사 노하우를 이용하여 보다 진보된 탐사 임무를 수행하였다. 위 임무에서는 100km 원궤도에서 7m 공간분해능을 가지는 월면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향후, 달 착륙을 위한 착륙 후보 영역 촬영을 위해 100km 원월점, 15km 근월점 궤도로 진입하여 1.05m의 공간 분해능을 가지는 영상 정보를 확보하였다. 이후 창어 2호는 지구-태양 시스템의 L2 라그랑지 포인트 영역의 평형궤도에 진입하여 임무를 수행하고, 2012년 4월 위 라그랑지 포인트를 출발하여 소행성 4179 Toutatis를 근접비행하며, 영상 촬영 임무를 수행하였다. <창어 2-T1호의 임무를 수행한 궤도> ※ 관련 그림 첨부파일 참고 앞선 창어 1, 2호는 달 주위를 공전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궤도선이였다면, 창어 3호는 Mare Imbrium 지역에 착륙한 달 착륙선이였으며, 창어 3호를 통하여 중국은 세계 3번째로 달에 착륙한 국가가 되었다. <창어 5호 형상> ※ 관련 그림 첨부파일 참고 <창어 5-T1호의 서비스 모듈의 지구-달 라그랑지 포인트 궤도> ※ 관련 그림 첨부파일 참고
※ 이 글은 아래 링크의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