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 개소식
- 부서명 관리자
- 작성일 2002-12-12
- 조회 14084
-액체추진과학로켓 발사성공 관련 장관 치하, 격려도 예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채연석)은 오는 16일 오후 3시 30분에 연구원 본관 대강당에서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 개소식과 현판식’을 가진다.
이날 개소식과 현판식에는 채영복 과학기술부 장관을 비롯한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며, 이날 개소식에서는 액체추진과학로켓(KSR-III)발사팀에 대한 치하와 격려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장․임철호)은 고성능/고안전성을 갖는 고속순항/수직이착륙 자율비행이 가능한 무인기 개발을 목표로 총 10년 동안 약 1,400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항우연은 무인기 핵심기술, 장기체공 소형무인기, 성층권무인비행선 등의 연구개발 기술을 토대로 2010년경 스마트무인기기술을 완성할 계획이다.
첨부자료 :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소개 자료
문 의 :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장 임철호(042-860-2900)
정보전산과 이규수(042-860-2206)
〈첨부자료〉
■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
1. 사업 개요
가. 충돌 감지/회피, 능동적 속도제어 등 핵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무인 항공기술 개발
나. 민수 공공 국방 분야에서 인간이 직접하기 어려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첨단 스마트 무인기 개발 및 실용화
2. 사업목표 :
- 고성능/고안전성을 갖는 고속순항/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자율비행무인기 개발을 통해 2010년대 세계 5위권의 무인기기술 선진국 진입
3. 스마트무인기 제원 및 성능(예상)
가. 동체 길이 : 1 ~ 3m
나. 최대 중량 : 300kg
다. 최고 속도 : 500km/h
라. 체공시간 : 5시간
※ 기존무인기
가. 높은 사고율 (유인경항공기의 100배)
나. 높은 운용 단가 (유인헬기의 3배)
다. 활주로 등 이착륙 지상 시설 요구
4. 개념 정의 :
가. 스마트무인기 : 신개념 무인기 + 스마트 기술
나. 신개념 무인기 : 고속비행과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소형 무인기
다. 스마트 기술 : 비행체의 성능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혁신 기술
- 자동이착륙 및 자동비행 (Fully Autonomous Flight)
- 충돌위험 인식 및 회피 (Collision Awareness and Avoidance)
- 자가 진단 및 복구 (Health Monitoring and Self-Restoration)
- 자율적 임무 판단 (Intelligent Mission Control)
- 능동 유동/소음 제어 (Active Flow/Noise Control)
- 실시간 데이터 전송 (Real Time Robust Data Link)
5. 사업 추진 필요성
가. 사업추진의 타당성
- 민수공공용 무인기 시장의 급성장
- 스마트 무인기의 다양한 활용성 및 잠재성
- 연구개발 대상이 미래 지향적으로 지식기반기술
- 산출기술이 부가가치가 높고 파급효과가 큼
나. 사업의 성공 가능성
- 신생 기술분야로서 선진국과 비교적 작은 기술 격차
- 대형 국책개발사업 등을 통한 국내 항공우주기술 기반 구축
- 정보통신, 전기전자, 정밀기계 등 우수한 국내 관련 첨단기술
다. 사업 추진의 시급성
- 최근 무인기의 중요성을 인식한 선진국들의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
- 관련 첨단 기술을 능가하는 무인기 기술의 급속한 발전
- 역량집중 정도와 착수 시점이 향후 사업 성패를 결정
6. 세계 무인기 시장 규모
가. 2000년 기준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