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KARI TV

자동차 부품수 2만개, 누리호 부품수 37만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D-7, 누리호 발사 변수는?
2021-10-13 403 243
HASHTAG
누리호 발사 변수
Summary 공공누리 공공누리 1유형
자동차 부품수 2만개 항공기 부품수 20만개 우주발사체는? 누리호 부품수 37만개 그만큼 '변수'도 많다 누리호 발사 변수는? [L-1]바살 예정일 전날 #기계 [변수1] 기계적 고장 없어야 발사준비 이상 無 1.5km/h로 이동하는 무진동 이송차량 누리호를 옮기고 세우고 연결하고 고정하는 모든 장치는 기계입니다. 누리호를 수직으로 세우는 기립장치 신뢰도 높은 기술이 적용됐지만 1%의 고정 가능성은 남아있죠. 추진제, 전기 등을 공급하는 엄빌리캅 지상고정장치(VHD) : 이륙속도와 해제 속도 일치 특히 이륙 직전까지 누리호를 붙잡아주는 발사체 지상 고정장치, 엄빌리칼 회수장치 : 분리 후 재빨리 회수 이륙 순간 분리되는 엄빌리칼과 회소장치 등은 발사 성공과도 직결되어 있습니다. 발사 전날부터 나로우주센터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흐릅니다. [L-Day] 발사 당일 #바람 [변수2] 순간 최대 풍송 21m/s 이하일 때 발사 가능 실시간 기상 관측 기상레이다 / 윈드라이다 / 라디오존데 15층 건물 높이의 누리호 발사에서큰 건물 높이의 누리호 발사에서 바람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안정적인 이륙, 정확한 비행 제어를 위해서는 바람이 발사와 비행을 도와줘야 합니다. #낙뢰·구름 [변수3] 낙뢱 가능성 없어야 발사 가능 누리호 안에는 수많은 전장품이 탑재됩니다. 정기적인 송상을 입는다면 오작동, 통신 방해가 일어날 수 있죠. 발사대를 에어산 3개의 기둥도 누리호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낙뢰보호시스템(LPS) 지상보다 중요한 건 높은 고도의 비행 경로인데요. 낙뢰감지시스템 공군전투기 투입 기상청 예보관 파견 우주센터 임금 반경 100km까지 낙래를 감지하고 비행계적에 수분을 잔뜩 머금은 두꺼운 구름을 실시간 감시합니다. #우주물체 [변수4]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없어야 발사 가능 우주물체는 초속7.8km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다. 누리호가 위성을 투입하는 지구저개도는 우주물체가 가장 많은 구간입니다. 우주물체의 최신 궤도 데이터를 토대로 한 충돌 회피(COLA) 분석 누리호 비행계적을 중심으로 충돌 가능성을 실시간 분석해서 위험성이 낮은 발사 시간대를 결정하는데요. 이런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은이런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과 당일 기상 여건 등을 고려해 발사 시각은 당일 오후에야 비로소 확정할 수 있습니다. #누리호 상태 [변수5] 누리호 상태 '정상' 유지해야 발사 가능 무엇보다 발사 당일 누리호의 상태가 가장 중요합니다. 아주 사소한 문제도 발사 실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륙 직전까지 누리호 점검이 이루어지는데요. 추진제 주입 전 추진제 주입 후 발사자동운용(PLO) 중 이 중 단 하나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누리호는 발사 연기 혹은 취소되거나 복구 후 발사 재시도를 하게 됩니다. 기상 여건, 기술적 요소 등을 판단해 발사가 연기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10년 전 나로호도 발사 10분 전 소화장치 오작동으로 발사가 중단된 적이 있죠. 누리호 발사예비일 10월 22일 ~ 28일 누리호는 10월 21일 발사 예정일 이후 일주일을 발사 예비일로 두고 있습니다. 수많은 변수가 있지만 단 한가지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다. "우리는 우주발사체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가졌습니다." "1차 발사 결과와 무관하게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있고, 반드시 성공하고자 하는 의지도 있습니다." "끝까지 믿고 격려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TV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VERSION DOWNLOAD
NICE평가정보 - CheckPlus 안심본인인증 테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