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I TV
다누리 재편집
2022-08-15
17412
84
Summary
이 영상에서는 한국형 반사체 의료의 성공을 발표하며, 대한민국의 우주 과학 기술의 발전을 강조합니다. 국민들에게 대한민국 우주의 하늘이 활짝 열렸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과학기술의 위대한 전진을 세 번 반복하여 강조합니다. 이로써 한국의 과학기술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공공누리

1993년 1단 과학로켓 발사 과학1호 발사 성공! (`93.6.3. 안흥 발사장)
1997년 과학로켓 2호기 발사
2002년 액체추진 과학로켓 3호기 발사
2009년 나로우주센터 준공
2013년 두차례 실패 끝에, 나로호 발사 성공
나로호 발사에 잇달아 실패하던 그때
2010년 3월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착수
12년 3개월 만의 결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국형 반사체 의료의 성공을 발표합니다.
국민 여러분, 대한민국 우주의 하늘이 활짝 열렸습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이 위대한 전진을 이루었습니다.
1톤급 이상 실용위성을 우주로 보낼 수 있는
세계 7대 우주강국
그리고 지구 중력장을 벗어나는 대한민국의 첫번째 도전
다누리
'달'에 누리다의 '누리'를 더해,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길 바라는 마음
대한민국이 세계 일곱 번째로 달에 갑니다
달 탐사선 개념설계 및
달 탐사 핵심기술연구
2016년부터 한국형 달 탐사선 개발을 시작해
국내 최대규모의 심우주 안테나 200만km 이상 통신 가능
2021년 달 탐사선과 통신할 심우주 안테나를 완성하고
우주환경 시험과 최종점검을 거쳐
8월 5일 달로 출발했습니다.
다누리의 여정(달 궤도 전이 방식)
다누리는 약4.5개월간의 긴 여정 동안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적은 연료로 달 궤도 진입
몇번의 궤도 변경과 5번의 감속 기동을 통해 달 궤도에 진입
임무 궤도 : 고도100km 원궤도
1년 동안 매일 12밬튀 달을 돌면서 임무를 수행합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해상도 카메라(LUTI)
고해상도 카메라는 달 전체를 상세히 촬영하고
착륙후보지 40여곳 집중 촬영
우리 달 착륙선이 내릴 수 있는 지도를 만듭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달 원소지도 제작하는 감마선분광기
달의 에너지원과 자원을 탐사하고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영상 및 티타늄 지도 만드는 광시야편광카메라
우주의 품화작용을 연구하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과 파일 전송을 하는 우주인터넷 검증기 / 우주인터넷탑재체(DTNPL)
우주 인터넷 통신기술을 검증합니다
경희대학교
달의 생성 원인을 연구하는 자기장측정기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해 달의 기원을 탐구하고
NASA 섀도 캠
영구음영지역 촬영과 아르테미스 미션 착륙후보지 탐색
미 항공우주국의 섀도 캠은 달에서 물을 찾아나섭니다
더 깊은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첫 번째 도전
"달에 가지 않고 더 먼 우주를 갈 수 없다."
대한민국 달 궤도선 다누리
대한민국이 달에 갑니다
KARI TV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본인인증하고 서비스 이용하기
타인의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됩니다.
(관련법률 : 주민등록법 제27조 별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