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I TV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2024-04-19
20309
46
Summary
이 영상에서는 전기 추력기를 우주에서 운용하기 위한 시험 장치에 대해 설명합니다. 전기 추력기는 지상에서 모사하여 운영되는 장치로, 직경 1.8미터를 의미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3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계부터 제작, 시험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이루어졌습니다. 국내 최초로 대형 추력기와 추력기 수명 체험이 가능한 장비로, 나사를 제외하면 거의 세계 수준의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장비는 아주 적은 연료로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정지 궤도 위성의 경우 연료 소모를 5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공공누리

연료 재충전이 불가능한 우주
우주에서 더 오래, 더 멀리 가기 위해서는 적은 연료로도 더 많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연비가 뛰어난 추력기가 필요하다
인공위성은 물론 심우주탐사에 필수적인 기술
전기추력기 개발에 필요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에 성공했다
국내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EPISODE 3.8
인공위성과 심우주탐사선은 발사체에서 분리된 이후 탑재된 추력기를 이용해 움직인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추력기는 연소반응을 이용한 화학추력기를 사용했지만 SpaceX 스타링크 위성 등에 사용되는 전기추력기는 전기에너지로 플라즈마를 생성·가속하여 추진력을 얻는 방식으로 연료의 효율은 높이고 탑재연료량은 줄일 수 있어 심우주탐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뽑힌다
ION PROPULSION SYSTEMS
독자적인 전기추력기 개발을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를 구축했다
EPISODE 3.8 Electric Propulsion In-Space Operation Demonstration Equipmen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수겸: 전기추력기를 우주에서 운용하는 그런 시험을 '지상에서 모사를 해서 하는 장치다'라는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전기추력기의 우주 운용을 지상에서 검증할 수 있는 장치
3.8은 이제 저희 직경을 의미합니다. 세로 3.8M 가로 10M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생성을 위해 1억분의 1기압 이하의 진공 환경 생성
저온과 고온을 빠르게 변경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및 플라즈마 진단 가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수겸: 작년 말까지 한 3년 정도에 걸쳐서 진행을 했습니다. 설계부터 제작 그리고 시험까지 다 국내 기술로 진행을 했습니다. 국내 최초로 대형 추력기와 또 추력기 수명 시험이 가능한 장비이기 떄문에 국내에서는 유례가 없는 장비고요
세계 7번째로 구축한 대형 시험장비 순수 100% 국내 기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수겸: 이제 계획하고 있는 극저온 디스크를 추가를 하게 되면 NASA를 제외하면 세계 수준의 장비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계적으로 '극저온 디스크' 추가 장착
세계 최고 수준 추력 1뉴턴(N)급 장비로 업그레이드해 나갈 계획
에피소드3.8을 기반으로 향후 전기추력기가 개발된다면?
높은 연료 효율로 심우주탐사에 유용
아주 적은 연료로 먼 거리를 갈 수 있는 그래서 심우주 탐사에 굉장히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가 있고요
정지궤도 위성의 연료 증량 1/5로 절감 가능
정지궤도 위성 같은 경우에도 (연료 중량을) 거의 한 5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독자적인 전기 추력기 개발을 향한 도전
순수 국내 기술로 구축한 대형 전기 추력기 시험장비 EPISODE 3.8
우주 추진 및 우주환경시험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는 든든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KA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인인증하고 서비스 이용하기
타인의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됩니다.
(관련법률 : 주민등록법 제27조 별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