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에 관한 검색결과 13건
으며, 달 궤도 진입에 필요한 30N급(4기) 대용량 고추력 추진시스템 국산화하였다. 기존 위성 자세제어용 추력기는 5N급이었다. 또한, 심우주통신용 고출력 송신, 고이득 안테나, 저잡음 수신기 등 달까지 통신거리 확장을 위한 대형 심우주 안테나(35m)를 여주에 구축하였다. 달궤도 탐...
> 연구개발 > 우주탐사 > 대한민국 최초의 달탐사선 다누리
이번 비행시험 결과 등을 국내 산업체와 공유해 고고도용 고성능 배터리 국산화 개발을 앞당길 수 있도록 관련 산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전폭20m 이륙중량66kg 체공시간53h 비행고도최대 22km 10고속-수직 이착륙 무인기 자세히 보기 내용 접기 세계 두 번째 틸트로터...
> 연구개발 > 항공
, 무베어링 로터 허브 개발 등 국산 헬리콥터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해 왔다. 1990년대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 회전익기 핵심기술 연구에 착수해 국내외 헬리콥터 관련 연구 동향 및 각종 현황 분석과 더불어 다목적 회전익기의 개념·기본설계, 축소 헬리콥터 로터 시...
> 연구개발 > 항공 > 회전익기
고해상도 카메라 개발과 광학탑재체의 핵심부품인 ‘초점면 전자유닛’등을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리랑위성 7A호의 적외선 탑재체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적외선 해상도를 더욱 개량해 감지·관측 성능을 높일 예정이며, 아리랑위성 7호와 연계해 관측 빈도를 극대화하는 등 성능도 ...
> 연구개발 > 인공위성
고해상도 카메라 개발과 광학탑재체의 핵심부품인 ‘초점면 전자유닛’등을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리랑위성 7A호의 적외선 탑재체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적외선 해상도를 더욱 개량해 감지·관측 성능을 높일 예정이며, 아리랑위성 7호와 연계해 관측 빈도를 극대화하는 등 성능도 ...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위성)
간 충돌방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개발 과정에서 해당 기술의 국산화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 기술 또한 확보할 계획이다. 영상레이더 탑재체 의 질량, 최대소요전력 , 입사각 ,표준해상도모드 , 고해상도모드, 광역관측모드 , 편파관측 , 영상획득시간 ,영상저장능력, 영상전송능력 을...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정지궤도위성
위성(임무 수명 4년)을 국내에서 독자 개발한다. 50cm급 광학카메라 국산화 국내외 수요가 많은 50cm급 광학탑재체를 국산 고유 모델로 개발하고, 광학탑재체의 기술자립화를 통해 초정밀 기계기술, 첨단 전기기술 등을 확보했다. 차세대중형위성에 탑재되는 광학카메라는 광검출기를 제외하고 ...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차세대중형위성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 인공위성 탑재체 세계적 수준의 고해상도 탑재체 국산화 인공위성은 임무 목적에 따라 다양한 탑재체를 탑재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과 차세대 중형위성은 저궤도 지구관측위성으로 전자광학탑재체, 영상레이더, 적외선 등의 탑재체를 통해서 지구관측을 하고 있다. 정지궤도 ...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인공위성 탑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