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에 관한 검색결과 10건
EXPO 지상관측용 무인비행선 개발 1993.06.04 / 09.01 1단형 과학로켓 1,2호기(KSR-1) 발사 1993.04 Experimental급 경항공기 개발 1992.10.20 항공우주연구소 준공 1990.12.26 항공우주연구소 건설 기공 1980년대1900 ~ 1989 ...
> KARI 소개 > 연혁/연구성과
수가 확인 되면 견학신청이 완료됨. 견학코스 1. 본관(누리호 75톤급 1단 엔진 실물, 다누리 모형 등) 2. 위성총조립시험센터(인공위성 모형, 발사환경시험실, 궤도환경시험실, 위성조립실) 3. 위성운영동(저궤도 위성관제현장, 지상안테나) 유의사항 - 모든 견학은 7일 전 사전예약을 ...
> KARI 소개 > 견학안내
구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대 이상의 드론으로 교통관리 시연 성공 1단계 사업에서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시스템(UTM) 관제실을 구축하고 비가시권 비행을 수행하는 5대 이상의 드론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교통관리 체계를 개발했다. 현재 진행 중인 2단계 사업에서는 전국망 ...
> 연구개발 > 항공
구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대 이상의 드론으로 교통관리 시연 성공 1단계 사업에서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시스템(UTM) 관제실을 구축하고 비가시권 비행을 수행하는 5대 이상의 드론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교통관리 체계를 개발했다. 현재 진행 중인 2단계 사업에서는 전국망 ...
> 연구개발 > 항공 > 무인기
도록 비행장 및 비행시험 시설?장비를 2단계로 나누어 구축할 예정이다. 1단계인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비행장 등화, 기상장비, 레이다 그리고 소방차 등과 비행장 운영 및 관리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다. 2단계(2025-2028)에는 관제시설, 계기비행시설, 항법장비들과 소방, 급...
> 연구개발 > 항공 >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센터
수요를 충족시키고, 관측 주기도 단축시킨다는 계획이다. 차세대중형위성은 1단계 개발사업에서 500kg급 중형위성용 표준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해상도 50cm급 정밀 지상관측 중형위성 2기를 국내 독자 개발한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여 개발하며, 위...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차세대중형위성
확대될 전망이다. 순수 국내 기술로 우주발사체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KSR-Ⅰ, 1993년), 2단형 고체추진 중형과학로켓(KSR-Ⅱ,1998),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 과학로켓(KSR-Ⅲ, 2002) 개발을 통해 로켓 설계 및 제작 능력을 길러왔다. 이어 우...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확대될 전망이다. 순수 국내 기술로 우주발사체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KSR-Ⅰ, 1993년), 2단형 고체추진 중형과학로켓(KSR-Ⅱ,1998),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 과학로켓(KSR-Ⅲ, 2002) 개발을 통해 로켓 설계 및 제작 능력을 길러왔다. 이어 우...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