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에 관한 검색결과 215건
Tenure제도 활성화 및 PRT제도 도입을 위한 설문조사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여 궁극적으로 국가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1999년 7개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발족하였고, 2013년 기준 19개 회원기관에 박사급 연구원 2400여명의 회원을 두고 있습니다. ※ 설문조사 경품 지급 안내: 행운상 50만원(1명), 참여상 10만원(5명) 아...
소식 > 공지사항
2014-02-21
인공위성을 관제한다는 것은?
기술은 정지궤도와 저궤도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기술 성장을 보였습니다. 1999년 저궤도 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를 시작으로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위성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관제하였습니다. 또, 여러 개의 인공위성을 동시에 관제하는 기술도 확보 중에 있습니다. 앞...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3-04-30
단백질이 우주에서 왔다고?
)’ 탐사선 덕분에 우주먼지를 이루는 물질은 더 정확하게 알려졌습니다. 1999년 2월 8일 발사된 탐사선은 빌트2(Wild 2)로 불리는 혜성에 다가가 우주먼지를 가져오기로 했고, 5년이 지난 뒤 임무를 완수했거든요. 2004년 1월 2일에 스타더스트 탐사선은 얼음 덩어리인 혜성의 주...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10-18
면서 시작됐다.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현재 고정밀 레...
> 연구개발 > 인공위성
면서 시작됐다.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현재 고정밀 레...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위성)
면서 시작됐다.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현재 고정밀 레...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정지궤도위성
면서 시작됐다.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현재 고정밀 레...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차세대중형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