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선’에 관한 검색결과 664건
다누리,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 성공
동시 수행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철, 이하 ‘항우연’)은 달 탐사선 다누리의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을 정상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동을 통해 다누리의 임무 고도는 평균 100km에서 60km로 낮아졌다. * 고도 하강 기동 : 다누리의 임무 고...
소식 > 보도자료
2025-02-20
항우연, 심우주탐사를 위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개발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원장 이상률)은 인공위성, 심우주탐사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추력기’ 개발에 필요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를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2월 7일(수) 오후 2시 대전 항우연 본원에서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전기추력기는 연소 반...
소식 > 보도자료
2024-02-07
전세계 우주기관 우주탐사 수장들, 대한민국에 모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 동 회의를 맞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KPLO)의 개발 및 운영 성과를 회의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다누리의 모형과 다누리가 촬영한 달 표면 사진도 함께 전시함으로써 주최국인 대한민국의 우주탐사 성과를 글로벌 우주탐사 커뮤니티에 알릴 ...
소식 > 보도자료
2023-12-06
공우주연구원은 우주탐사 기술 확보 및 검증을 위한 국제협력 기반의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를 2022년 8월 5일 발사했고, 12월 26일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다누리는 정상적으로 달 ...
> 연구개발 > 우주탐사 > 대한민국 최초의 달탐사선 다누리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해 인공위성과 우주탐사선 발사, 우주화물 수송 등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개발한 인공위성은 모두 해외 우주발사체를 이용해 발사됐다. 우주발사체 연구개발이 늦어 우주발사체를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주발사체는 국가간...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해 인공위성과 우주탐사선 발사, 우주화물 수송 등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개발한 인공위성은 모두 해외 우주발사체를 이용해 발사됐다. 우주발사체 연구개발이 늦어 우주발사체를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주발사체는 국가간...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해 인공위성과 우주탐사선 발사, 우주화물 수송 등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개발한 인공위성은 모두 해외 우주발사체를 이용해 발사됐다. 우주발사체 연구개발이 늦어 우주발사체를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주발사체는 국가간...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