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기관’에 관한 검색결과 6건
톤급 액체엔진 임무연소시간 연소시험 성공 2015.12 한국형발사체엔진 추진기관 시험설비 준공 2015.08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4.12km 비행 성공 2015.0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 발사 2014.05 유무인 혼용기(OPV) 개발 2013...
> KARI 소개 > 연혁/연구성과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술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당시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발사체 추진기관 시험 설비의 조기 구축을 위한 설계도 수행했다. 나로호 개발 전반에 걸쳐 150여 개 산업체가 참여하는 등 발사체 기술 분야에서 국내 산·학·연이 종합적으로 발전함으로써 발사체 독자개발을 위한 국내 자립 기...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과 발사를 위해 시험설비가 증축되었다. 75톤급, 7톤급 액체엔진등 추진기관을 독자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추진기관 시험시설 7종을 준공했고 누리호 발사를 위한 제2 발사대도 건립했다. 제2 발사대에는 발사체를 기립한 상태에서 발사 준비 작업이 가능한 높이 45.6m의 엄빌리칼(Umb...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나로우주센터
엔진 요소기술 개발, 스크램제트엔진 요소기술 개발 등의 연구를 통해 고속추진기관 실용화에 기틀을 마련했으며, 현재 전기 동력 비행체의 추진시스템 관련 핵심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무인기용 엔진, 극초음속 추진 및 하이브리드 전기추진과 같은 미래 비행체의 추진시스템 관련 연구...
> 연구개발 > 항공 > 항공추진기술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