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기관’에 관한 검색결과 251건
항우연, 심우주탐사를 위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개발
추력기와 달리 전기에너지로 플라즈마를 생성·가속하여 추진력을 얻는 우주 추진기관으로, 연료 효율을 크게 높이고 탑재연료량을 줄일 수 있어 심우주탐사에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다. 이런 장점을 활용해 최근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을 비롯한 저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에 적용되고 있다.? ? ...
소식 > 보도자료
2024-02-07
추진기관시스템시험설비 통합제어시스템 제작 및 운용기술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시스템 성능검증 시험(수류시험 및 종합연소시험)을 위한 통합제어시스템의 제작 및 운용기술이다. 본 기술은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의 지상설비와 발사체가 주고받는 모든 명령과 신호(데이터)를 매칭하여 전달하는 기...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8-31
추진기관시스템시험설비 발사체고정시스템 및 운용방법
발사체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에서 시험을 위해서는 발사체를 시험대에 설치해야하며, 협소한 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크고 다루기 까다로운 발사체를 안전하게 세우고, 연소시험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발사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단히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7-31
톤급 액체엔진 임무연소시간 연소시험 성공 2015.12 한국형발사체엔진 추진기관 시험설비 준공 2015.08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4.12km 비행 성공 2015.0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 발사 2014.05 유무인 혼용기(OPV) 개발 2013...
> KARI 소개 > 연혁/연구성과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술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당시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발사체 추진기관 시험 설비의 조기 구축을 위한 설계도 수행했다. 나로호 개발 전반에 걸쳐 150여 개 산업체가 참여하는 등 발사체 기술 분야에서 국내 산·학·연이 종합적으로 발전함으로써 발사체 독자개발을 위한 국내 자립 기...
> 연구개발 > 우주발사체 > 한국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