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발사 부탑재위성(산·연) 공모
누리호 4차 발사 부탑재위성(산·연) 공모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행하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일환으로 2025년 하반기 누리호 4차 발사를 추진 중입니다.
뉴스룸 > 연구사업공고
2024-05-08
누리호 5차 발사 부탑재위성 공모 착수
누리호 5차 발사 부탑재위성 공모 착수 - 4차 추가 1기, 5차 7기 등 총 8기 부탑재위성 공모 계획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 이하 ‘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2024년 12월 9일(월)부터 4주간 누리호 4차 및 5차 발사에
뉴스룸 > 보도자료
2024-12-09
누리호 6차 발사 부탑재위성 공모
관련하여 누리호 6차 발사의 주탑재위성과 함께 발사할 부탑재위성을 국내 산업체, 대학, 연구기관 및 정부기관(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체단체)을 대상으로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기관의 많은 신청바랍니다.
뉴스룸 > 공지사항
2025-09-22
달탐사 다누리 현재위치 이전 다음 01 과거와 다른 달탐사 경쟁 시작됐다 미국은 1969년 인류 최초 아폴로 11호 달 착륙 이후, 다시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나로호 개발 당시 엔진 핵심 구성품에 대한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설비가 없어 해외 시험설비에 의존했었지만 현재는 나로우주센터에 엔진 핵심 구성품, 엔진 시스템, 추진기관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을 완료했다. 1차 발사
01 위성항법 위성항법시스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 위성항법시스템은 위성을 통해 위치, 항법,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자동차·선박 길 안내, 응급구조, 재해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현재 미국 GPS 신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약 10m의
아리랑위성 3호는 발사 이후 현재 까지 아리랑 3호는 지구상공 고도 685km 궤도에서 하루에 약 15바퀴 지구를 선회하며 지구관측을 통해서 공공안전, 국토․자원관리, 재난감시 등에 활용되는 고해상도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위성영상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