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발사체용 이동형 인공위성 공기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 방법
우주발사체로 발사되는 인공위성은 발사 과정에서 온도/습도/청정도 조건을 항상 만족시켜야 함. 인공위성이 조립장에서 발사대로 이동할 때에도 이 조건은 만족되어야 함.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1-31
항우연, 심우주탐사를 위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개발
우주에서 최대 수만 시간 이상 작동해야 하는 전기추력기 개발을 위해서는 성능과 수명 검증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방전을 통한 플라즈마 생성을 위해 1억분의 1기압 이하의 진공 환경 생성, 저온과 고온을 빠르게 변경하기 위한 온도 조절 및 플라즈마 진단이 가능한 특수
뉴스룸 > 보도자료
2024-02-07
다이오드를 이용한 열유속 센서 및 열유속 측정 방법
열전도율, 밀도 및 비열을 알고 있는 매질 양단의 온도를 측정한 후 푸리에 법칙(Fourier's law)을 이용하여 열의 흐름인 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매질 양단의 온도차를 전압으로 출력해 그 값을 열유속 값으로 교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함.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8-17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는 축적된 경험과 고도화된 시설 및 장비를 바탕으로 최고 수준의 조립 및 시험 인프라를 제공하여 앞으로도 한국 우주개발 프로그램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고도 18㎞의 성층권은 대기압이 지상의 14분의 1에 불과하고 온도가 –70℃까지 내려간다. 하지만 대기가 안정되어 구름, 강우와 같은 기상현상이 없어 주간에는 태양광을 항상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지상관측, 기상관측 및 통신 중계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흔히 절대위치정보라고 하며, 위성항법시스템은 원천적으로 절대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PNT 정보시스템이다.
또한 관측 채널도 3배 이상 높아졌고, 동일한 관측 영역을 3배 더 빠르게 관측할 수 있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