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발사체용 이동형 인공위성 공기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 방법
우주발사체로 발사되는 인공위성은 발사 과정에서 온도/습도/청정도 조건을 항상 만족시켜야 함. 인공위성이 조립장에서 발사대로 이동할 때에도 이 조건은 만족되어야 함.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1-31
다이오드를 이용한 열유속 센서 및 열유속 측정 방법
열전도율, 밀도 및 비열을 알고 있는 매질 양단의 온도를 측정한 후 푸리에 법칙(Fourier's law)을 이용하여 열의 흐름인 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매질 양단의 온도차를 전압으로 출력해 그 값을 열유속 값으로 교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함.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8-17
인공위성용 강압형 태양전력 조절기
태양전지는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최대전력점이 변동하는데, 강압형 태양전력 조절기는 최대전력점 추적기를 통해 일사량과 온도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가 최대전력을 생성하도록 태양전지를 제어한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5-01-10
이를 흔히 절대위치정보라고 하며, 위성항법시스템은 원천적으로 절대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PNT 정보시스템이다.
정확한 자세제어 성능 확보를 위해 광학 계즉 장비로 각 구성품과 구조물의 상대/절대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정렬한다.
달에서 로봇은 진공 상태와 극단적 온도 환경(-180℃~130℃)을 견뎌야 하며, 발사 진동에도 강건하고 가벼워야 한다. 최근 그래핀(Graphene)과 맥신(MXene) 같은 2차원 나노 재료가 우주 시스템 적용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터빈 시험평가설비의 운용과 여러 국가·민간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토대로 엔진, 압축기, 연소기, 터빈 구성품 설계, 해석 및 시험평가기술을 확보했다. 2010년도 이후에는 엔진의 고고도 환경시험 신뢰성 향상, 압축기의 압력비를 높이는 고부하 압축기 설계기술, 연소가스의 온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