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에 관한 검색결과 272건
누리호 2차 발사 성능검증위성(PVSAT) 성공적 임무 완수
경쟁력확보를 위해 소형화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검증하여 우주항공 안테나의 국산화는 물론 해외 진출까지 도모할 수 있는 우주검증이력(Heritage)을 확보했다. ?져스텍이 개발한 자세제어모멘트자이로는 국내 순수 기술로 제작한 최대 중량 9.5kg의 고기동성 자세제어용 구동기로 소형위성(1...
소식 > 보도자료
2024-08-14
가위날개 드론
속도로 장거리비행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기체는 중량 50kg급으로 국산화 개발된 7kW급 드론용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을 탑재하도록 설계되었다. 기본적인 가위날개 기체 설계안을 기반으로 고정익, 멀티콥터, Lift&Cruise 방식의 다양한 드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 ******...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4-08-08
항우연, 심우주탐사를 위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개발
항우연, 심우주탐사를 위한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개발 - 우주용 전기추력기 성능 및 수명 검증 가능한 진공시험 장비 구축 -?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원장 이상률)은 인공위성, 심우주탐사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추력기’ 개발에 필요한 ...
소식 > 보도자료
2024-02-07
으며, 달 궤도 진입에 필요한 30N급(4기) 대용량 고추력 추진시스템 국산화하였다. 기존 위성 자세제어용 추력기는 5N급이었다. 또한, 심우주통신용 고출력 송신, 고이득 안테나, 저잡음 수신기 등 달까지 통신거리 확장을 위한 대형 심우주 안테나(35m)를 여주에 구축하였다. 달궤도 탐...
> 연구개발 > 우주탐사 > 대한민국 최초의 달탐사선 다누리
이번 비행시험 결과 등을 국내 산업체와 공유해 고고도용 고성능 배터리 국산화 개발을 앞당길 수 있도록 관련 산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전폭20m 이륙중량66kg 체공시간53h 비행고도최대 22km 10고속-수직 이착륙 무인기 자세히 보기 내용 접기 세계 두 번째 틸트로터...
> 연구개발 > 항공
, 무베어링 로터 허브 개발 등 국산 헬리콥터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해 왔다. 1990년대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목적 회전익기 핵심기술 연구에 착수해 국내외 헬리콥터 관련 연구 동향 및 각종 현황 분석과 더불어 다목적 회전익기의 개념·기본설계, 축소 헬리콥터 로터 시...
> 연구개발 > 항공 > 회전익기
고해상도 카메라 개발과 광학탑재체의 핵심부품인 ‘초점면 전자유닛’등을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리랑위성 7A호의 적외선 탑재체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적외선 해상도를 더욱 개량해 감지·관측 성능을 높일 예정이며, 아리랑위성 7호와 연계해 관측 빈도를 극대화하는 등 성능도 ...
> 연구개발 > 인공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