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위성’에 관한 검색결과 155건
저궤도위성 지상반복궤적 유지를 위한 정밀 기준궤도최적화, 궤도결정, 조정 비행역학 기술_상용화조사표
저궤도위성의 지상반복궤적 유지를 ±250m 이내로 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궤도최적화, 정밀궤도결정, 정밀궤도조정 비행역학 기술
기술사업화 및 중소기업지원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0-09-15
천리안위성 2B호, 오늘(2월19일) 아침 발사 성공
, 지난 천리안위성 2A호에 이어 2B호도 발사에 성공하면서 우리나라는 저궤도위성에 이어 정지궤도위성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의 개발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면서, “이번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성공을 계기로, 이제는 성숙된 위성개발 역량이 민간으로 전달되어 우리 경제에 힘이 되어 줄 수 있...
소식 > 보도자료
2020-02-19
다목적실용위성 5호, 2020년까지 2년 운영 연장
수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번 임무연장 결정을 내렸다. ? ?※ 저궤도위성 임무 연장사례 : 다목적 1호(5년), 다목적 2호(6년), 다목적 3호(2년, 현재 운영 중) ■? 아리랑위성 5호는 지난 5년간 지구궤도를 약 27,000회 회전하고 약 7,000회 지상기지와 교신하면...
소식 > 보도자료
2018-08-22
도 환경위성’ 이라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환경탑재체를 활용하면 현재 저궤도위성에서만 관측되고 있는 대기오염물질을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상시 관측할 수 있다. 일본의 동쪽부터 인도차이나반도까지, 인도네시아 북부와 몽골 남부까지 동아시아 지역 약 5,000km × 5,000km내의 ...
> 연구개발 > 인공위성 > 인공위성 탑재체
만 아니라 해외에도 지상국 안테나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대전 본원에는 저궤도위성 관제ㆍ수신용 안테나 2기 및 정지궤도 관제ㆍ수신용 안테나 3기를 운영하고 있다. 1999년 발사된 국내 최초 지구관측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의 운용을 위해 13m 안테나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저궤도 7.3m 안...
> 연구개발 > 위성영상활용
만 아니라 해외에도 지상국 안테나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대전 본원에는 저궤도위성 관제ㆍ수신용 안테나 2기 및 정지궤도 관제ㆍ수신용 안테나 3기를 운영하고 있다. 1999년 발사된 국내 최초 지구관측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의 운용을 위해 13m 안테나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저궤도 7.3m 안...
> 연구개발 > 위성영상활용 > 위성 종합관제 업무
다. 위성영상들 간의 융합 활용뿐만 아니라 정지궤도위성영상의 구름정보를 저궤도위성 촬영계획 수립에 활용하는 등 저궤도ㆍ정지궤도위성의 복합 활용기술도 개발 중이다. 광학위성영상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레이더(SAR) 및 적외선(IR) 영상의 활용에 필요한 핵심기반기술(PollInSAR 긴...
> 연구개발 > 위성영상활용 > 위성활용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