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계층 위성항법의 성능 예측 및 감시 기술
다중계층 위성항법의 성능 예측 및 감시 기술은 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 위성을 포함하는 다중계층 항법 체계에서 위성항법 서비스의 정확도, 신뢰성 및 가용성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5-02-06
다누리, 우주에서 영상․사진 데이터 보내와
. * 다누리가 예정된 지구-달 전이궤적을 따라 항행할 수 있도록 추진제를 사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지금까지 3차례의 궤적수정기동(8.7, 9.2, 11.2)을 실시함 다누리는 발사 94일이 지난 11월 7일 현재 지구로부터 약 105만km 떨어진 거리(누적이동거리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1-07
[보도자료] 다누리, 우주에서 영상.사진 데이터 보내와
. * 다누리가 예정된 지구-달 전이궤적을 따라 항행할 수 있도록 추진제를 사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지금까지 3차례의 궤적수정기동(8.7, 9.2, 11.2)을 실시함 다누리는 발사 94일이 지난 11월 7일 현재 지구로부터 약 105만km 떨어진 거리(누적이동거리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1-07
이전 다음 BLT/WSB 방식으로 달에 간다 달에 가는 궤도는 크게 직접천이(Direct Transfer), 3.5 전이궤도(3.5 Phasing Loop Transfer), 달 전이궤도(BLT, Ballastic Lunar Transfer) 궤도 등이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탐사 기술 확보 및 검증을 위한 국제협력 기반의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를 2022년 8월 5일 발사했고, 12월 26일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역량 확보를 위한 핵심 기술 1우주 수송기술, 항행 기술 2달/행성 표면 연착륙 기술 3달/행성 표면 이동/탐사 기술 이중 우주 수송기술은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을 통해 확보 추진중이며, 항행 기술은 다누리(달 궤도선)를 통해 달 전이궤도 및 달 궤도
2A호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