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4-12
[보도자료] 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4-12
다누리 3년간의 관측 성과 공개
다누리 3년간의 관측 성과 공개
착륙 후보 지역 등의 관측 영상 및 자료 분석 성과 공개
뉴스룸 > 보도자료
2025-08-05
탑재체 제원 목표 개발 고해상도 카메라 해상도 : 2.5m 관측폭 : 약 10km 무게 : 12kg 전력 : 20W 위치(좌표) 오차 225m 이하, 최대해상도 2.5m, 관측폭 10km 이상의 달 표면 관측영상 산출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표면 주요 지역
01 넘쳐나는 달 표면의 가치, 우리나라의 독자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 시급 기술적 진보와 새로운 관측 정보에 의해 ‘달 표면’의 과학기술∙경제/산업 ∙안보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국제적인 달 표면 탐사/활용 계획(달 과학, 현지 자원 활용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2021년 발사되었으며, 현재 국토·자원 관리 및 재난재해 대응 관련 공공부문 수요 대응, 국가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밀지상관측 영상 제공 등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다.
반사경 표면을 제작하는 과정은 머리카락을 50,000분의 1 굵기로 자르는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상이 뒤틀리는 것을 막기 위해 표면을 ‘비구면’으로 제작해야 한다. 표면을 고르지 않고 휘게 제작해야 하는데, 그만큼 더 고난이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