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4-12
[보도자료] 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4-12
다누리 3년간의 관측 성과 공개
올해 2월 19일에는 고도를 60km까지 낮추어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오는 9월 24일에는 별도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의 전이를 통해 관측 임무를 지속할 예정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5-08-05
탑재체 제원 목표 개발 고해상도 카메라 해상도 : 2.5m 관측폭 : 약 10km 무게 : 12kg 전력 : 20W 위치(좌표) 오차 225m 이하, 최대해상도 2.5m, 관측폭 10km 이상의 달 표면 관측영상 산출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표면 주요 지역
01 넘쳐나는 달 표면의 가치, 우리나라의 독자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 시급 기술적 진보와 새로운 관측 정보에 의해 ‘달 표면’의 과학기술∙경제/산업 ∙안보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국제적인 달 표면 탐사/활용 계획(달 과학, 현지 자원 활용
면적 : 연면적 2,031㎡ 주요시설 : 추적레이다 1기, 텔레메트리 2기 위치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01 우주발사체의 지속적인 추적과 정보 수신 나로우주센터는 우주발사체의 안정적인 추적(과 비행상태정보 획득)을 위해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의 제주추적소를 운용하고
아폴로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된 직접천이 방식은 약 5일 이내의 시간이 소요되는 방법으로 지구 발사 후 직접 달에 도착한다. 인도의 찬드라얀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3.5 전이궤도는 지구 근처를 긴 타원궤도로 몇 차례 공전한 후에 달 궤도에 진입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