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탑재 차세대소형위성 2호 임무수행 순항 중
그리고 위성의 통신계 송수신 기능, 명령 및 데이터처리계 기능, 전력계 태양전지판의 전력생성 기능 등을 점검하여 모두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7일간 위성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영상레이다 안테나를 전개하고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자세를 안정화할 예정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5-26
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 결과
또한 KSAT3U(카이로스페이스)는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한 후 전력계 상태도 정상인 것으로 파악되며, LUMIR-T1(루미르)은 위성 신호 수신 성공 후 지상국과 교신을 시도 중이다. 나머지 1기는 지상국을 통해 위성 신호 수신을 지속 시도 중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5-30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알고리즘을 구비한 전력 시스템
기술사업화 > 우수기술 > 항공
2022-08-12
구분 세부내용 본체 본체 시스템 항법 및 유도제어(자율항법 및 자세제어기술, 레이저 또는 마이크로파 고도체 설계기술) 전력계 구조계(경량화 설계, 추진계 장착, 추진계 분리매커니즘) 열제어(달궤도/달표면 열해석기술, 능동형 고효율 열제어기술, 극한환경용 전장품 열설계)
또한 위성탑재컴퓨터, 탑재체 접속장치, 구조물, 다층박막단열재, 전력분배기, 파이로 접속유닛 등 25종 이상의 위성체 하드웨어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다.
1340 x 820 (발사 상태) 5203 x 1340 x 820 (임무 상태) 무게 : 179.9 kg 임무 : 소형영상레이다 기술 검증, 근지구 궤도 우주방사선 관측, 핵심 과학기술 검증 등 탑재체 : 영상레이다, 우주방사선관측기, 상변환물질 적용 열제어장치, X-대역 전력증폭기
탑재체 제원 목표 개발 고해상도 카메라 해상도 : 2.5m 관측폭 : 약 10km 무게 : 12kg 전력 : 20W 위치(좌표) 오차 225m 이하, 최대해상도 2.5m, 관측폭 10km 이상의 달 표면 관측영상 산출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표면 주요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