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 현장, 대한민국의 눈으로 보다! 다누리의 찬드라얀 3호 착륙지 촬영 사진 공개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 현장, 대한민국의 눈으로 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9-12
[보도자료] 달 궤도선 다누리, 8월 3일 발사를 위한 이송 시작
이후 항공으로 미국 올랜도 공항까지 이송한 후, 다시 육상으로 이동하여 7월 7일 발사장(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캐너배럴 우주군기지)에 도착한다. * 온도‧습도‧양압 유지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특수 컨테이너로, 다누리 수송을 위해 신규 제작 ㅇ 이후 다누리는 발사장에서 약
뉴스룸 > 보도자료
2022-07-05
[보도자료]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 현장, 대한민국의 눈으로 보다! 다누리의 찬드라얀 3호 착륙지 촬영 사진 공개
인류 최초의 달 남극 착륙 현장, 대한민국의 눈으로 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9-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시스템, 본체, 지상국을 총괄하고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그리고 미국의 NASA가 탑재체와 심우주 통신, 항행 기술을 지원하는 협력체계로 추진되고 있다.
달탐사 다누리 현재위치 이전 다음 01 과거와 다른 달탐사 경쟁 시작됐다 미국은 1969년 인류 최초 아폴로 11호 달 착륙 이후, 다시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01 위성항법 위성항법시스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 위성항법시스템은 위성을 통해 위치, 항법,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자동차·선박 길 안내, 응급구조, 재해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현재 미국 GPS 신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약 10m의
이전 다음 02 고해상도 위성 카메라 개발 기술 확보 서브미터급 고해상도 위성에 대한 수요는 1999년 발사된 미국의 IKONOS 2호(해상도 82cm)와 2001년 발사된 Quickbird 2호(해상도 62cm) 위성이 상용화하면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