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상 서비싱을 위한 임무궤적 설계기술
본 기술은 LEO(저궤도)에서 GEO(정지궤도)까지 다양한 궤도 환경에서 서비싱 위성이 목표 위성에 안전하게 접근하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궤적 설계 및 분석 기술입니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5-06-19
UAM 운항 및 교통관리용 비행계획 및 궤적예측 정보 설계 기술
교통관리를 위해서는 각 UAM 비행편이 운항하고자 하는 출도착지와 경로, 비행 시작 시간 등을 기록한 비행계획 정보와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궤적 예측 정보가 필요하며, 본 이전 기술은 이러한 비행계획 정보와 궤적 예측 정보를 UAM의 운용개념 및 교통관리 특성에 맞춰 정형화하는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8-31
누리호 3차 발사 비행정보 분석 결과 보고 및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연구책임자 선정
누리호 3차에서는 궤적, 자세, 엔진, 전자장치, 제어 등 발사 임무 수행과 관련된 시스템이 모두 설계대로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으며, 또한 발사대 및 추적레이더 등과 같은 지상 장비도 정상 작동하여 계획된 임무를 모두 수행하였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6-23
세부적으로는 위성 발사체 시스템 설계 및 제작 시험, 위성의 궤도 투입 기술 및 발사 운용기술 확보, 위성 발사체 관련 설비·장비 개발 및 구축이 주요 목표였다.
달까지 가는 4달 반의 기간동안 4회의 궤적 수정 기동(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를 통해 다누리의 궤적이 설계한 기준 궤적을 잘 따라가도록 궤도를 조정한다.
항공교통 흐름관리를 위해서는 주요 공역 및 공항에서의 교통 수요량 예측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비행계획, 항적자료, 기상자료 등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항공기의 정밀한 궤적 (4D 궤적: 3차원 위치 + 시각) 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출발관리시스템(DMAN)은 항공사, 항공교통센터, 공항공사 등으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정보와 지상/공중에서의 항공기 정밀 궤적 등의 예측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항공기 출발 순서와 시각을 관제사에게 제공하며, 관제사는 이를 이용하여 출발 항공기를 효율적으로 관제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