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럿 방식 압력레귤레이터 개발 기술
본 압력레귤레이터는 한국형발사체(누리호) 엔진에 사용되고 있는 비행시험에서 검증된 파일럿 방식의 압력레귤레이터로, 산업용에 주로 사용되는 직동식 압력레귤레이터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입구압 변화에 따른 출구압력의 변화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1-27
하이브리드동력 멀티콥터 드론
본 기술은 최대연속출력 7kW의 하이브리드 동력을 기반으로 임무장비를 최대 10kg까지 싣고 2시간 비행이 가능한 헥사콥터형식이며,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의 장착/운용에 최적화된 동체구조와 18리터 용량의 연료탱크를 갖추고 있어서 농업용은 물론 택배/화물수송, 감시/정찰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4-08-08
2023년도 초·중학생 대상 스마트수과학실 교육(발사체 실습) 안내
. ※ 교육진행 시 별도 사진촬영이 있을 수 있으며, 촬영된 사진은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교육간 개인 부주의에 의한 상해 사고 관련하여 연구원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뉴스룸 > 공지사항
2023-11-17
또한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개발되는 적외선 관측 위성을 확보했으며, 적외선 센서 영상은 해외의 상업용 적외선 센서 탑재 위성과 견주어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을 갖추고 있다.
총중량 : 1,633kg 임무장비 : 100kg 최대속도 : 389km/h 최대체공시간 : 5시간 01 민간 무인항공기 인증기술 표준화 항공, 정보통신기술 등 기술 융합으로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무인항공기는 지금까지는 군수용 시장이 주를 이루었으나 앞으로는 민간 상업용
(UTM)은 국가가 관리하는 드론비행정보시스템(FIMS, 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과 공공사업자와 민간사업자가 모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UTM 서비스시스템(USS, UTM Service System)의 분산 구조를 정립하고 상업화를
IKONOS 2호 위성은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의 상업화 시대를 연 최초의 위성이었다. 아리랑위성 3호 개발 당시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술은 미국이 가장 앞서 있었으며, 프랑스·인도·일본·이스라엘·중국·러시아·독일 등은 서브미터급 위성을 개발하지 못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