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추진비행기 개조기술
더욱이 UAM, PAV 등, 개인운용 목적의 비행기가 다양하게 개발 중이며, 대부분은 전기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4-07
이착륙 비행체의 타워형 충전 및 격납시스템,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 이착륙 비행체의 타워형 충전 및 격납시스템 본 기술은 복수개의 비행체를 격납 시키며 충전시킬 수 있는 타워에 있어서, 착륙부가 타워 외벽에서 펼쳐져 나옴으로써, 비행체가 착륙하며, 복수개로 구성된 착륙부, 착륙부에서 비행체를 자동착륙 시킬 수 있는 자동착륙부, 비행체를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3-06-13
안전점검 수행기관 등록명부 공개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 같은 법 시행령 제100조의2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제18조에 따라 건설공사 안전점검 수행기관 등록명부를 공개합니다. 붙임 : 안전점검 수행기관 등록명부 1부. 끝.
뉴스룸 > 공지사항
2024-04-18
이전 다음 02 세계 3번째로 성층권 비행 성공 및 53시간 비행 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한 날개길이 2.6m급의 EAV-1을 개발해 비행시험을 수행한 바 있으며, 이후 날개길이 6m급의 EAV-2를 개발해 각 동력원의 장단점과 향후 활용 가능성을 점검했다.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미래 우주비행체 임무고도 : 300km 중량 : 4,800kg 이하 폭 : 5m 이하 길이 : 7m 이하 이전 다음 01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무인 우주비행기는 로켓으로 지구의 저궤도에 발사되며, 궤도비행을 하면서 지상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 후 비행기처럼
소형무인비행기 인증기술 개발 전장 : 8.03m(전폭 11.29m) 총중량 : 1,633kg 임무장비 : 100kg 최대속도 : 389km/h 최대체공시간 : 5시간 01 민간 무인항공기 인증기술 표준화 항공, 정보통신기술 등 기술 융합으로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무인항공기는
국방분야에서는 고속 비행이 가능한 복합형 회전익기의 핵심 구성품인 덕티드-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대한 핵심 설계/해석기술을 확보하였으며, 특히 방위사업청 선도형 핵심기술 과제인 “복합형 고추력 덕티드 팬 시스템 기술개발”을 통해 고속 비행이 가능한 미래 선도형 회전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