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담 특허사무소 선정 공고
. □ 모집기술분야 전문 분야 세부 분야 AI 빅데이터, 딥러닝, 머신러닝, 알고리즘, 손실함수, 인공지능 등 항공우주 항공·발사체·위성·위성활용, 기계, 전자, 전기, 운송, 물리 등 전자정보통신 ICT, 항공정보통신, 모빌리티 등 □ 선정 방법 및 계약기간 - 선정
뉴스룸 > 공지사항
2025-03-07
[해명자료] 매일경제, ‘항우연·한화 차세대발사체 갈등···결국 법정 가나’ 보도 관련
주요 보도내용(매일경제,‘24.8.6 17시 42분) ○「항우연·한화 차세대발사체 갈등…결국 법정 가나」 기사에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후 한화에어로) 측은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관련 일종의 ‘이면계약’이 존재한다고 주장 - 계약과정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후 항우연)
뉴스룸 > 보도자료
2024-08-07
차세대발사체 개발은 차질없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달 착륙도 재차 연기 위기 - 과기정통부가 책임 떠넘기기위해 조달청에 (조달책임을) 넘김 - 체계요구조건검토회의(System Requirements Review, 또는 시스템요구조건검토회의) 지연되고 있음 - 지난해 폭발한 터보펌프 시험설비가 일정대로 복구되지 못하고 있음
뉴스룸 > 보도자료
2024-02-21
기술개발성과를 산업체에 효율적으로 이전하여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국내 유관 산업체의 기술개발력 강화 01 기술이전 절차 기술이전 대상기술 제출(연구부서) 기술이전 대상기술 개요 및 특장점 등 항우연 홈페이지 게시(담당부서) 기술이전 대상기술 소개자료 민간 홍보 기술이전 상담/계약조건
CI 01 심볼마크 Symbol mark 본 심볼마크의 의미는 연구의 국제성을 감안하여 연구원 명을 영문 이니셜로 나타내고 A자를 항공과 우주를 상징하는 도형으로 변형시켜 평면 시각(TOP VIEW)에서는 항공기의 형상을 강조하고 입면시각(ELEVATION)에서는 로켓의 형상을 강조함으로써 항공과 우주를 연구하는 첨단성과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인 연구기관임을 로고마크(LOGO MARK)로 집약시켰습니다. 심볼마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대표하는 최고의 시각적 요소입니다.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02 사용예시 로고타입 Logotype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항공우주연구원 CI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본 항에서 제시된 것은 국문과 영문으로서 기타 다른 디자인 요소와의 조화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디자인한 것입니다. 국문 영문 시그니처 Signature 상하조합 좌우조합 앰블럼 Emblem 기본타입 그리드스케일 컬러 시스템 Color System 전용색상은 주색 (main color)과 보조색 (sub color)으로 나누어지며 별색으로 인쇄하는 것이 원칙이나 매체의 특성상 별색 인쇄가 불가능한 매체일 경우에는 4원색 인쇄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yal BlueDIC. No. 2605p CMYK : 90. 70. 0. 0 RGB : 60. 45. 160 HEX : #2a5caa Green BlueDIC. No. 2578 CMYK : 80. 10. 40. 0 RGB : 40. 140. 120 HEX : #00a8a5 Royal GrayDIC. No. 547 CMYK : 10. 10. 30. 0 RGB : 213. 205. 173 HEX : #d5cdad
인사말 01 설립목적 항공우주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향상에 기여 02 주요기능 항공기·인공위성·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 항공우주 안전성 및 품질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품질인증 및 국가 간 상호인증 국가 항공우주개발 정책수립 지원, 항공우주 기술정보의 유통 및 보급· 확산 시험평가시설의 산·학·연 공동 활용 및 주요 임무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중소·중견기업 등 관련 산업계 협력·지원 및 기술사업화
연혁 및 연구성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항공우주 전문 연구기관으로 항공우주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0년대 2020 ~ 현재 2010년대 2010 ~ 2019 2000년대 2000 ~ 2009 1990년대 1990 ~ 1999 1980년대 1980 ~ 1989 2023.05 누리호 3차 비행시험 2022.08 다누리 발사 2022.06 누리호 2차 비행시험 2021.10 누리호 1차 비행시험 2021.03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2020.08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EAV-3) 53시간 연속비행 성공 2020.02 정지궤도복합위성(천리안) 2B호 발사 2018.12 정지궤도복합위성(천리안) 2A호 발사 2018.11 QTP-UAV 자동 천이비행 성공 2018.11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2016.12 국가 우주개발전문기관 선정 2016.08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8.5km 비행 성공 2016.07 75톤급 액체엔진 임무연소시간 연소시험 성공 2015.12 한국형발사체엔진 추진기관 시험설비 준공 2015.08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4.12km 비행 성공 2015.0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 발사 2014.05 유무인 혼용기(OPV) 개발 2013.12 4인승 소형항공기(나라온) 개발 2013.11 과학기술위성3호 발사 2013.08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 발사 2013.01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3차 발사 2012.06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 민군겸용 핵심구성품 개발 2012.05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 발사 2011.11 스마트무인기 개발 2010.06 천리안위성 발사 2009.06.11 나로우주센터 준공 2008.12 중형에어로스탯 개발 2008.04 우주인 배출 2006.07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2호 발사 2003.10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선 개발 2003.09 과학기술위성 1호 발사 2003.08 우주센터기공 2002.11 한국 최초 액체추진과학로켓 (KSR - III) 발사 2001.09 선미익 항공기 개발 1999.12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1호 발사 1998.06 2단형 과학로켓 (KSR -Ⅱ) 발사 1997.03 쌍발 복합재료 항공기 개발 1996.11.22 한국항공우주연구소 법인 설립 1993.09 EXPO 지상관측용 무인비행선 개발 1993.06.04 / 09.01 1단형 과학로켓 1,2호기(KSR-1) 발사 1993.04 Experimental급 경항공기 개발 1992.10.20 항공우주연구소 준공 1990.12.26 항공우주연구소 건설 기공 1989.10.10 한국기계연구소 부설 항공우주연구소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