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담 특허사무소 선정 공고
. □ 모집기술분야 전문 분야 세부 분야 AI 빅데이터, 딥러닝, 머신러닝, 알고리즘, 손실함수, 인공지능 등 항공우주 항공·발사체·위성·위성활용, 기계, 전자, 전기, 운송, 물리 등 전자정보통신 ICT, 항공정보통신, 모빌리티 등 □ 선정 방법 및 계약기간 - 선정
뉴스룸 > 공지사항
2025-03-07
[해명자료] 매일경제, ‘항우연·한화 차세대발사체 갈등···결국 법정 가나’ 보도 관련
주요 보도내용(매일경제,‘24.8.6 17시 42분) ○「항우연·한화 차세대발사체 갈등…결국 법정 가나」 기사에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후 한화에어로) 측은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관련 일종의 ‘이면계약’이 존재한다고 주장 - 계약과정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후 항우연)
뉴스룸 > 보도자료
2024-08-07
직무관련 영리행위(이해충돌) 관련 복무감사 결과
중점 점검사항 ㅇ 교육직무를 담당하면서 본인이 대표로 창업한 중소기업을 통해 외부 교육요청기관의 교육용역을 수의계약 등으로 수주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해충돌 및 이권개입 여부 조사 4.
OPEN KARI > 정보공개 > 사전정보공표 > 감사결과
2025-01-06
KASS 개발 과정 2014년 10월 개발 착수 2022년 12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항행안전무선시설인 KASS 시스템 관리·운영 전담기관으로 지정 2023년 3월 항공교통본부와 위탁용역 계약 체결, 청주·인천 센터에서 운영 시작 2024년 2월 9년 4개월 동안의 KASS
기술개발성과를 산업체에 효율적으로 이전하여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국내 유관 산업체의 기술개발력 강화 01 기술이전 절차 기술이전 대상기술 제출(연구부서) 기술이전 대상기술 개요 및 특장점 등 항우연 홈페이지 게시(담당부서) 기술이전 대상기술 소개자료 민간 홍보 기술이전 상담/계약조건
CI 01 심볼마크 Symbol mark 본 심볼마크의 의미는 연구의 국제성을 감안하여 연구원 명을 영문 이니셜로 나타내고 A자를 항공과 우주를 상징하는 도형으로 변형시켜 평면 시각(TOP VIEW)에서는 항공기의 형상을 강조하고 입면시각(ELEVATION)에서는 로켓의 형상을 강조함으로써 항공과 우주를 연구하는 첨단성과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인 연구기관임을 로고마크(LOGO MARK)로 집약시켰습니다. 심볼마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I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대표하는 최고의 시각적 요소입니다.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02 사용예시 로고타입 Logotype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항공우주연구원 CI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본 항에서 제시된 것은 국문과 영문으로서 기타 다른 디자인 요소와의 조화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디자인한 것입니다. 국문 영문 시그니처 Signature 상하조합 좌우조합 앰블럼 Emblem 기본타입 그리드스케일 컬러 시스템 Color System 전용색상은 주색 (main color)과 보조색 (sub color)으로 나누어지며 별색으로 인쇄하는 것이 원칙이나 매체의 특성상 별색 인쇄가 불가능한 매체일 경우에는 4원색 인쇄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yal BlueDIC. No. 2605p CMYK : 90. 70. 0. 0 RGB : 60. 45. 160 HEX : #2a5caa Green BlueDIC. No. 2578 CMYK : 80. 10. 40. 0 RGB : 40. 140. 120 HEX : #00a8a5 Royal GrayDIC. No. 547 CMYK : 10. 10. 30. 0 RGB : 213. 205. 173 HEX : #d5cdad
인사말 01 설립목적 항공우주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향상에 기여 02 주요기능 항공기·인공위성·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 항공우주 안전성 및 품질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품질인증 및 국가 간 상호인증 국가 항공우주개발 정책수립 지원, 항공우주 기술정보의 유통 및 보급· 확산 시험평가시설의 산·학·연 공동 활용 및 주요 임무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중소·중견기업 등 관련 산업계 협력·지원 및 기술사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