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에 관한 검색결과 202건
우주왕복선의 착륙.. 어떻게 이루어질까?
개가 달려 있다. 우주왕복선의 착륙방식은 궤도 조종용 로켓을 역분사해서 지구의 대기권으로 진입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보통 활주로 같은 곳에 착륙하며 비행기처럼 바퀴가 밑바닥에서 나온다. 그리고 지상에 착륙해 낙하선을 펴서 속도를 줄여 착륙한다. 날개가 있는 이유는 대기에서 안정적으로...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01-14
인공위성 사진 어떻게 찍는 것일까?
1959년 미국의 익스플로러 6호가 지구를 찍은 것이지만, 본격적으로 지구의 모습을 위성으로 촬영하기 시작한 것은 1972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랜드셋 프로그램(Landsat Program)부터다. 랜드셋 위성은 1972년부터 1999년까지 랜드셋1호부터 7호까지 전체 6대의 위성이 사...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12-31
아폴로 계획과 재미난 기록들
크리스마스는 지구의 온 인류가 평화를 기원하는 즐거운 날이다. 크리스마스는 지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머리 위 지구로부터 약 400km 떨어져 있는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인에게도 특별한 날일 것이다. 지금이야 국제우주정거장이 계속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12-24
다양한 항공기의 엔진들
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실로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지구의 반 바퀴에 가까운 서울~뉴욕 사이를 무착륙으로 직항할 수 있으며 심지어 음속보다도 더 빠르게 비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러한 것을 모두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바로 비행기의 엔진이다. 비행기는 새들처럼 날개를...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12-17
화성까지 유인탐사 가능할까?
호먼궤도를 이용해 화성으로 갈 경우 약 8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지구의 공전속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최단거리를 로켓 추진비행을 통해 이동할 경우, 비행시간은 20~30일로 줄겠지만, 연료는 어마어마한 양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10-29
우주정거장~컴퓨터바이러스에 안전할까?
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현대문명의 '공공의 적'인 컴퓨터 바이러스가 지구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상황설정은 흥미로웠다. 독일 최대 컴퓨터보안업체 AV테스트랍스가 따르면 최근 들어서는 한 해 동안 450만 개의 컴퓨터 바이러스가 새로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지난 1985∼2004년까지 생...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10-15
한반도 기상예보는 내가 맡는다! ‘통신해양기상위성’
을 주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을 ‘기상위성’이라고 한다. ‘기상위성’은 지구의 기상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구름의 생성과 소멸, 시간에 따른 구름의 이동, 구름의 종류, 높이, 두께, 태풍의 생성과 소멸 및 이동경로 등을 관측하고 이와 관련된 자료를 지상으로 보내준다. 이후, 기상전문가들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20
화성 탐사하는 '월-E'의 친구들
지난 8월 6일 개봉한 영화 ‘월·E’의 주인공은 바퀴로 움직이며 지구의 폐기물을 수집하는 로봇이다. 이 로봇은 식물탐사로봇 ‘이브’에게 사랑을 느껴 ‘그녀’를 따라 우주로 향한다.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한 영화지만 월·E와 이브의 조상이 되는 로봇은 지금도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06
지구 밖, 생명체를 찾아서...
탄화수소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대기가 초기 지구의 대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는 ‘타이탄’을 관찰하면 지구에서 어떻게 생명체가 탄생했는지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다.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도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있어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6-25
태양만 바라보는 해바라기 탐사선
하게 됐다. 율리시스호는 태양 탐사선이지만 정작 태양과의 거리는 태양과 지구의 거리보다 3배 정도 먼 4억6000만km였다. 이는 목성의 인력을 이용해야 태양 극궤도로 진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태양의 반대쪽으로 발사됐던 것이다.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태양 탐사선은 유럽에서 쏘아올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