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에 관한 검색결과 202건
인공위성을 밀고 당기고? - 인공위성을 방해하는 4가지 요소
에서 다니는 길을 ‘궤도’라고 합니다. 인공위성의 ‘궤도’는 인공위성이 지구의 어느 대륙, 어느나라 상공을 지나야 하는지와 얼마나 자주 그 지역의 상공을 지나야 하는지 또는 그 지역에 머물러야 하는지 등을 미리 생각하여 정해집니다. 다시 말해, 인공위성이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하려면 정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2-16
갑작스런 폭설..뜨거운 북극 때문이라고?
매서운 추위가 몰려왔고, 눈도 많이 내렸다는 것입니다. 북극을 포함한 지구의 북반구에는 차가운 공기의 소용돌이가 있습니다. 이 차가운 소용돌이는 강해졌다가 약해지기를 반복하고 있죠. 이런 흐름은 수십 일이나 수십 년 사이에 한 번씩 되풀이 됩니다. 우리는 이런 현상을 가리켜 ‘북극진동...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1-04
앗, 우주에 슈퍼미생물이?
데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의 식물과 동물, 박테리아 등 모든 생물은 모두 탄소(C)와 수소(H), 산소(O), 질소(N), 인(P), 황(S)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래서 생물책에는 이 6가지 물질을 ‘생물에 꼭 필요한 6대 원소’라고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2-08
우주관광용 활주로가 따로 있다?
이 공항이 위치한 뉴멕시코 주는 미국 남서부 지역으로 적도에 가깝다. 지구의 자전속도는 위도가 낮을수록 빨라지다가 적도에서 가장 빨라진다. 따라서 적도 근처에서 우주선을 발사한다면 자전 때문에 생기는 회전속도를 덤으로 얻어 연료를 아낄 수 있다. 현재 20여 곳의 우주발사기지가 적도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25
마지막 여행 떠나는 ‘디스커버리호’와 역사적 순간들
의 탐험가 제임스 쿡의 말이다. 이 말처럼 그는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지구의 곳곳을 탐험해 새로운 지도를 그렸다. 1777년 1월 북미 서부해안에서 발견했던 하와이도 이중 하나다. 당시 쿡이 타고 있던 배의 이름은 ‘디스커버리(Discovery)’였다. 제임스 쿡의 정신을 이어받은 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03
세계 최초로 혜성 착륙에 도전…‘로제타호’
소식을 전했다. 특히 소행성의 질량과 밀도를 보여주는 자료는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막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중요한 단서를 전해준 로제타호는 원래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혜성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발사됐다. 10년간 71억km를 비행해 2014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06
수성의 구석구석을 살핀다, 탐사선 메신저!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관심을 끄는 대목 중 하나는 수성의 자기장이다. 지구의 자기장은 내부의 맨틀이 움직이기 때문에 만들어진다. 하지만 수성의 내부는 고체이기 때문에 자기장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메신저 호는 자기장이 생기는 이유에 대한 자료를 계속 모으는 중이다. 또 수성...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05
달 탐사에 로봇 ‘아바타’ 보낸다
있는 거대한 바위섬 사이를 날아다니는 판도라 행성. 2154년, 인류는 지구의 자원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구로부터 4.4광년 떨어진 판도라에서 ‘언옵타늄’이라는 광물을 채굴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판도라의 대기는 독성을 갖고 있어 인간이 숨을 쉴 수 없는데다가, 판도라의 원주민인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14
[천리안 특집] 우리도 정지궤도위성시대로 간다
3만 6000km로 표시)를 돌게 되면 그 주기가 23시 56분 4초로 지구의 자전시간과 같아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위성의 주기가 지구의 지전 속도와 같다면 지구의 한 지점을 관찰할 때 움직이지 않고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에 통신장치를 설치하면, 빠르게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16
[나로호특집] 나로호 발사, 이번엔 반드시 성공이다.
만에 2단 엔진(킥모터)이 점화되면서 우주로 계속 올라갔다.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을 뒤로하고 말이다. 그러나 7분 35초에 2단 엔진까지 점화를 마치고 추진 동력을 잃을 잃어버리자 나로호는 격렬하게 회전하기 시작했다. 덜 분리된 왼쪽 페어링 때문에 균형을 잃은 것이다. 왼쪽 페어링은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