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에 관한 검색결과 271건
로켓 디자인에도 이유가 있다!
로켓과 액체추진제 로켓으로 나뉘는데, 액체추진제 로켓이 훨씬 큰 탱크를 가진다. 고체추진제 로켓은 추진제 탱크가 곧 연소실이지만 액체추진제 로켓은 추진제 탱크와 연소실이 분리돼 있어 추진제 탱크의 내부 압력이 낮기 때문이다. 고체와 액체 로켓을 모두 사용하는 미국의 우주왕복선에서 그 크...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26
비행기가 자동차도 된다…테라퓨지아 트랜지션
면 자동차 운전면허도 필요하다. 자동차와 비행기, 두 가지 모습을 모두 가진 트랜지션은 지난 6월 30일 FAA에서 경량항공기(LSA)로 분류돼 승인을 받았다. 따라서 제품이 실용화되는 2011년 말이 되면 실제로 판매되는 트랜지션을 만날 수 있다. 현재 트랜지션의 판매 가격은 19만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27
통신, 해양, 기상 관측을 한번에!… ‘천리안’ 위성의 의미
한반도의 기상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멀티플레이어, ‘천리안’이 가진 마지막 능력은 통신 기능이다. 다른 탑재체가 외국 기술진과 협력해 만든 장치인 반면, 이 통신 탑재체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순수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장비라는 게 특징이다. ‘천리안’은 위성의 허리춤에 붙어있는...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23
화성의 지구병균 오염을 막아라
화성탐사를 하기 전 철저한 방역을 거칠 것이다. 정복자 피사로의 군대가 가진 천연두 병균이 찬란했던 잉카 문명을 무너뜨린 역사를 화성에서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다. 글 : 안형준 과학칼럼니스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4-30
『항우연』-『네덜란드 국립항공연구원』MOU 체결
소 중 두 번째로 오래된 기관으로서 1919년에 설립된 90년의 역사를 가진 비수익 독립기관이다. 약 700여명의 인력과 풍동, 시뮬레이터, 복합재 제작 설비, 구조 시험 및 연구용 항공기 등을 설비로 보유하고 있다. 사진설명 :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본부장(...
소식 > 보도자료
2010-04-28
우주인 vs 로봇우주인
우리에게 친숙한 아시모나 휴보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보다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로보넛2’.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로봇의 활동 무대가 우주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름도 ‘로봇우주인’(Robonaut, robot+astronaut)을 의미하는 ‘로보넛’이다. 이름 뒤에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4-07
정확한 목표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해! - 로켓 자세 제어의 비밀
다 특이한 모습을 보였다. 길이 33m에 무게 140t의 거대한 덩치를 가진 이 로켓이 쓰러지듯이 잠시 기울어지다가 다시 자세를 바로 잡고 수직으로 상승한 것. 이는 발사대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회피기동’이다. 매우 짧은 시간이었지만 우리는 이 장면으로 로켓의 놀라운 유도 능력...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3-10
새처럼 날개짓하는 항공기가 있다면?
늘거나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 때 필요한 전기에너지도 비슷한 성질을 가진 다른 소재보다 100분의 1 정도였다. 연구팀은 소재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날개 전체에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새의 날개 구조를 파악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새가 날개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감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3-03
태양에너지로 날아오르다! ‘솔라 임펄스’
에 속하며, 덕분에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면서 하늘을 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솔라 임펄스’는 낮에는 고도 1만 2000m에서 날다가 밤에는 고도 3000m로 낮게 비행한다. 이는 햇빛의 강도에 따라 고도를 조절함으로써 낮에는 최대한 많은 전력을 생산하고 밤에는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1-06
하늘을 나는 고래! 고래를 보면 항공기술이 보인다!
고래와는 달리 상어에겐 소용돌이가 반갑지 않은 존재다. 엄청난 덩치를 가진 고래는 양력이 있어야 바다 속을 잘 헤엄칠 수 있지만, 이미 날씬해질 대로 날씬해진 상어는 떠오르는 힘보다는 전속력으로 앞으로 나가는 힘이 필요하다. 물속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는 오히려 앞으로 나가는 데 방해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