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에 관한 검색결과 271건
로켓 속 '트랜스포머'를 찾아라!
변신이 이뤄지면 ‘RL-10B-2’ 로켓은 세상에서 가장 긴 ‘노즐’을 가진 로켓엔진이 됩니다. 동시에 세계 최고 성능을 가진 로켓엔진이 되기도 하죠. 이 로켓의 ‘확장 노즐’로 빠져 나가는 가스는 1초에 4.5km를 이동할 정도로 빠릅니다. ‘확장 노즐’은 무게도 생각보다 가볍습니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2-25
핵심 연구분야 우수인력 모집 안내
각 기관의 중점 연구분야에서 함께 일할 창의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젊은 과학자(Young Scientists)를 초빙합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
소식 > 공지사항
2011-01-13
비행기는 산타할아버지를 따라잡을 수 있을까?
무게만 7만톤입니다. 이 정도 무게를 하늘로 띄우려면 아주 강한 엔진을 가진 썰매가 필요합니다. 오늘날 지구에서 가장 강한 제트엔진은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GE90-115B입니다. 이 엔진은 주로 거대한 항공기에서 사용하는데, 이 엔진 하나의 힘은 52톤의 물체를 하늘로 올릴 수 있는 정...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2-22
조종사가 되는 비행훈련에도 단계가 있다?!
고등비행훈련은 실제로 부대에서 쓰는 고속 제트 전투기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 고등훈련기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기본적인 전투비행 능력과 비행기에 있는 기계에 나타난 숫자들을 보고 비행하는 계기비행 능력을 갖추게 된다. 우리나라 공군은 35주간 382시간의 이론교육과 70회의 비행교육을 받...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2-02
우주관광용 활주로가 따로 있다?
비행’이라고 부른다. 이런 비행은 주로 우주선을 올려 보내는 발사기지를 가진 국가가 해왔지만 몇 년 전부터 여러 회사가 작은 우주선과 우주공항 등의 기본시설을 갖추고 우주관광에 도전하고 있다. 우주관광의 시작은 2004년에 있었던 ‘X-프라이즈’로 볼 수 있다. 이 대회는 고도 100k...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25
인공위성과 슈퍼컴으로 추적하는 허리케인
온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유럽, 인도, 러시아, 중국 등 몇몇 나라만이 가진 기술이다. 반가운 소식은 우리나라도 지난 6월 27일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우리 기술로 만든 기상위성 ‘천리안’을 쏘아 올리는 데 성공해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우리의 정지궤도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10
세계 최초로 혜성 착륙에 도전…‘로제타호’
살피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고정용 작살에 달린 센서로는 혜성의 토양이 가진 특성을 살피고, 자기탐지기로 혜성 자기장과 주변 태양풍 간의 상호작용도 관측할 수 있다. 로제타호 역시 자외선 분광계와 마이크로파 분광계, 우주먼지 수집 장치를 이용해 혜성의 핵과 주변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06
우주 쓰레기, 대형 풍선으로 치워볼까?
선은 오랫동안 쌓인 저궤도의 우주 쓰레기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망가진 인공위성이나 위성에서 떨어진 부품, 인공위성을 쏘는 데 사용된 로켓의 잔해인 우주 쓰레기는 각종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우주 공간을 떠돌다 운행 중인 인공위성과 부딪치면 고장을 일으키기도 하고, 안정적으로...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29
개구리 닮은 우주탐사로봇, 있다? 없다?
SA)의 과학자들은 개구리를 본뜬 로봇을 만들었다. 지구와 다른 표면을 가진 행성을 탐사할 때 개구리처럼 점프할 수 있는 능력이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003년에 만들어진 ‘호핑 로봇(Hopping Robot)’이 그 주인공이다. 무게 1.3kg의 호핑 로봇은 특수하게 제작돼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15
화물선에서 초호화 호텔까지, 비행선의 변신은 무죄!
있다. 또 다른 비행선 호텔로는 ‘사람이 타고 다니는 구름’이라는 뜻을 가진 ‘맨드 클라우드(Manned Cloud)’가 있다. 프랑스 국립항공우주연구소(ONERA)와 유명 디자이너 장 마리 마소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이 비행선은 52만㎡ 넓이에 최대 60명을 태울 수 있다. 또한 60...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