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관한 검색결과 1,988건
비행기가 자동차도 된다…테라퓨지아 트랜지션
수 있다. 날개를 펴면 하늘을 나는 비행기로, 날개를 접으면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로도 사용할 수 있는 변신기계인 셈이다. 이 재미있는 기계를 개발한 사람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출신의 칼 디트리히(Carl Dietrich) 박사다. 그는 2006년 MIT 비즈니스모델 경연대회...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27
로켓 추진제, 100퍼센트 활용하기
로켓이 지구 중력을 벗어나 우주공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만드는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돼 있다. 이 추진제가 로켓 전체에서 차지하는 무게는 80~90%나 된다. ‘나로호’도 전체 140톤 중에 로켓의 구조물 무게는 10톤밖에 되지 않고, 추...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21
달 탐사에 로봇 ‘아바타’ 보낸다
도 활용할 수 있을까?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아바타를 이용해 달을 탐사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해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의 과학대중지 파퓰러사이언스 온라인판은 지난 2월 원격조종이 가능한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달탐사 프로젝트 ‘Project M’을 홈페이지에 소개했다. Proje...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14
화산재가 항공기에 치명적인 이유!
조종석 유리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시커먼 화산재가 항공기에 달라붙으면 조종사의 시야를 가려 정상적인 비행을 할 수 없다. 이렇게 달라붙은 화산재가 항공기 꼬리 부분의 무게를 늘려 이륙과 착륙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화산재 입자가 전기를 띠고 있어 전파도 방해할 수 있는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07
똑똑한 천리안이 일기예보를 하기까지~
관측용 센서가 깨끗해야 한다. 그래서 궤도상 시험 기간의 4분의 1에 달하는 한 달 반 정도의 기간이 혹시 발사과정에서 생겼을지도 모를 오염물질을 우주의 진공상태에서 제거하는 데 쓰인다. 실제로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돼도 한 동안 기상센서의 정상 관측시험은 이뤄지지 못하는 것이다. 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30
통신, 해양, 기상 관측을 한번에!… ‘천리안’ 위성의 의미
다. 지금까지 한반도의 기상 관련 자료들은 일본과 미국의 위성을 통해 전달 받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30분에 1번씩 일본의 MTSAT-1이라는 정지궤도위성이 주는 한반도의 기상정보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천리안 위성이 뜨면 평상시 15분, 비상시 최대 8분 간격으로 우리나라의 기상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23
[천리안 특집] 우리도 정지궤도위성시대로 간다
서 위성은 동쪽이나 서쪽으로 조금씩 이동한다. 지구에 비해 작긴 하지만 달이나 태양의 중력도 정지위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위성이 남북방향으로 움직이기도 한다. 결국 정지위성이 정지한 상태로 보이기서는 끊임없이 움직여야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지궤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16
[나로호특집] 나로호 발사, 이번엔 반드시 성공이다.
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분리 화약을 터뜨리는 신호도 잘 전달되도록 전기적 부분을 보완했다. 나로호 2차 발사가 1차 발사와 거의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점은 우리가 성공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한 번의 경험을 통해 개선할 점을 찾았으니 이제 정말 성공하는 일만 남은 셈이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01
[나로호 특집]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우주로 간다
1969년 7월 21일,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했다. TV로 중계됐던 달 착륙을 지켜봤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암스트롱의 유명한 말처럼 그의 작은 걸음이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었기 때문이다. 이 후,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26
[나로호 특집] 한국 로켓의 진화…나로호가 있기까지
단과 2단이 분리돼 2단 로켓이 점화됐고, 최고 고도 137.2km에 도달한 뒤에는 6분 4초간 123.9km를 비행했다. 과학로켓 1호와 2호의 개발과 발사에 성공했지만 이들로는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수 없었다. 100kg급의 소형 인공위성을 우주에 쏘려면 170톤급의 추진력이 필요하...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19